전북지역에 양질의 일자리가 부족하면서 직장인 5명 중 1명은 외지에서 돈벌이를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개발과 적극적인 투자 유치 등을 통한 양질의 일자리 창출을 통해 지역인재가 전북에 머물도록 노력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12일 한국은행 전북본부(본부장 한경수)가 국민연금 빅데이터를 활용한 전북지역 직∙주 불일치(주거지와 직장이 다름)를 분석한 결과 2022년 7월 기준 전북에 거주하면서 다른 지역에 있는 직장을 다니는 근로자(국민연금 가입자 기준)는 총 10만4000명에 달해 전북 전체 국민연금 가입자 52만 9000명의 19.7%를 차지했다.
외지 유출 근로자는 서울(41.0%), 경기(19.4%), 충남(9.0%), 전남(6.3%), 대전(5.5%) 등에 80% 이상의 직장이 소재했고, 월 급여가 200만원대(24.1%), 남성(70.3%), 40대(29.3%)의 유출 근로자 수 비중이 가장 높았다.
이들의 근로소득은 3700억 원 수준으로 전북지역 총 근로소득 1조 3400억 원의 27.6%를 차지했다.
반면 직장은 전북이지만 거주지가 타 지역인 근로자는 5만3000명으로 전체 가입자의 11.1% 수준이며 경기(24.4%), 서울(20.5%), 광주(11.6%), 전남(7.1%), 충남(6.8%) 등에 70% 이상이 거주한 것으로 집계됐다.
전북지역 역외유출 근로 소득액은 1700억원 수준으로 전북지역(직장지) 총 근로소득의 14.9%를 차지했으며 역외유출 지역은 경기(24.8%), 서울(21.1%), 광주(10.9%), 전남(6.2%), 충남(5.2%) 등의 순으로 월 급여 553만원 이상(28.7%), 남성(70.5%), 40대(33.2%)의 역외유출 근로 소득액 비중이 높았다.
전북의 직·주 불일치 및 소득의 유출입 현상을 경제 여건이 유사한 충북, 강원과 비교하면 지역 내 유입 근로자 수의 비중이 낮아 이에 따른 근로소득 유출액 비중도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근로소득의 역외 순유입은 근로자의 역외 순유출을 의미하기 때문에 우수인력의 역외유출 방지를 위한 노력이 요구된다고 한국은행 측은 조언했다.
한국은행은 "지역에서 생산된 소득이 지역민 소득으로 귀착되는 비율이 낮을 경우(역외 순유출) 이로 인한 지역민의 수요 위축이 지역 내 생산 축소로 이어져 지역경제 성장을 저해할 소지가 크다"며 "우수 인력이 지역에 머물면서 생산 및 소비 활동에 참여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