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실은 12일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가 제안한 ‘4년 중임제’ 개헌에 대해 “국회에서 논의할 사안”이라며 선을 그었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이날 브리핑에서 이 대표의 제안에 대한 입장을 묻는 질문에 “개헌에 대한 대통령의 생각은 얼마 전 한 언론 인터뷰를 통해 접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앞서 윤 대통령은 이달 2일자 조선일보 인터뷰에서 대통령 임기와 관련된 개헌 이슈에 대해 별도로 언급하지 않은 상황으로, 대통령제 개헌론에 거리를 두겠다는 뜻으로 읽힌다.
다만 이 관계자는 “지역 특성에 따라 2명, 3명, 4명을 선출하는 방법도 고려해볼 수 있다”며 “중대선거구제를 통해 대표성을 좀 더 강화하는 방안을 검토해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또한 이 관계자는 이 대표의 영수회담 및 범국가비상경제회의 제안에 대해선 “회담에 대해서는 여러 차례 입장을 밝힌 바 있다”며 “회담은 언제나 열려있다는 말을 드린다”고 했다.
그러면서 “국회 상황 등 여러 제반 여건을 고려해 판단하게 되지 않을까 생각한다”며 “나머지 제안에 대해서도 국회 상황이나 여러 제반 여건들을 판단해 필요하면 말씀드리도록 하겠다”고 덧붙였다.
이와 함께 대통령실은 국민의힘 나경원 전 의원의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 부위원장직 사의 표명에 대한 별다른 입장을 내지 않고 있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이날 나 전 의원이 지난 9일 사의를 표명한 데 대한 입장을 묻는 질문에 “특별히 오늘 더 드릴 말씀은 없다”며 “상황도 입장도 어제와 달라진 게 없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윤 대통령이 사의를 수용할 뜻이 전혀 없다는 것인가’라는 질문에는 “행정적 절차가 진행되지 않고 있기 때문에 추가적으로 어제와 다른 입장을 낼 상황은 아니란 점에서 달라진 게 없다”고 답했다.
한편 윤 대통령은 새해부터 시행되는 ‘고향사랑기부제’에 동참했다.
대통령실 이재명 부대변인은 이날 “윤 대통령 부부는 서울시를 제외한 16개 시도에 각 30만원씩, 총 480만원을 기부했다”고 밝혔다.
이어 “16개 시도에 똑같이 기부한 것은 국가 균형발전에 대한 대통령의 의지를 나타낸 것으로 이해해달라”고 덧붙였다.
윤 대통령은 “고향사랑기부제가 우리 사회의 건전한 기부문화 정착으로 이어지면 어려운 지방재정 및 지역경제 활성화에 크게 도움이 될 것”이라며 “행정안전부와 각 지자체는 제도의 성공적인 안착을 위해 긴밀히 협력해 달라”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