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완주 통합의 발판은 ‘국회의원 선거구 통합’

완주측 상생협의회 이어 전주측 통합추진연합회 선거구 통합 회견
지리·역사적 생활권 하나인 전주완주 통합위해 단일선거구 만들어야
20년 이상 답보중인 통합문제, 이번 기회로 족쇄푸는 원동력 삼아야

내년 1월 18일 전북특별자치도 출범을 앞두고 전주완주 통합을 위한 잰걸음이 이어지고 있다.

전북특별자치도가되면 도지사가 정부로부터 행정구역 조정 권한을 이양받게 될 것이라는 기대감에서 인구상한선을 초과한 전주병 지역의 일부 동과 완주군을 통합한 완주 단일 선거구를 만들자는 주장이다. 

(사)완주·전주통합추진연합회는 17일 전북도의회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인구 9만2000여 명인 완주를 중심으로 전주 일부 지역(송천동, 호성동 등)과 묶어 국회의원 단일 선거구를 획정할 것을 촉구한다”고 밝혔다. 

이어 “이는 공직선거법에서 정한 인구하한선 13만9000명을 맞추자는 것으로, 정치권 합의와 국회에서 공직선거법을 개정하면 가능하다는 게 선거관리 당국의 해석”이라고 덧붙였다.

앞서 완주전주상생발전추진위원회 역시 지난 11일 완주군을 중심으로 전주 일부지역을 포함하는 단일 선거구 획정을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벌였었다. 전주와 완주에서 통합을 요구하는 각 단체가 각각 연대해 나선 것이다.

(사)완주·전주통합추진연합회는 17일 전북도의회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인구 9만2000여 명인 완주를 중심으로 전주 일부 지역(송천동, 호성동 등)과 묶어 국회의원 단일 선거구를 획정할 것을 촉구한다”고 밝혔다.

공직선거법 25조에 의하면 하나의 자치구·시·군의 일부를 분할해서 다른 국회의원 지역구에 속하게 할 수 없도록 했다. 그러나 인구범위를 충족하는 하나의 국회의원지역구를 구성할 수 없는 경우에는 그 인접한 자치구·시·군의 일부를 분할해 구성할 수 있도록 했다. 

자치구·시·군을 분할해 선거구를 조정한 전남지역의 사례를 보면 2016년 19대 총선 당시 순천시 선거구와 광양시곡성군구례군선거구를 2020년 21대 총선에서 순천시광양시구례군 갑선거구와 순천시광양시곡성군구례군 을선거구로 각각 조정했었다.

강원지역 역시 춘천시선거구와 홍천군철원군화천군양주군인제군선거구를 각각 춘천시철원군화천군양구군 갑선거구와 춘천시철원군화천군양구군 을선거구로 조정했었다.

연합회는 “전북특별자치도법의 목표는 개발에 뒤처진 전북의 경제를 일으켜 세우기 위해 정부가 특별히 재정 등을 지원하는 것”이라며 “미래의 완주전주 통합시, 새만금특별시와 함께 초광역 메가시티로 육성하는 것을 지향하고 있고, 전북발전의 꿈을 이루기 위해서는 지리·역사적, 생활권이 하나인 완주전주 통합이 선결과제”라고 강조했다.

이어 “20년 이상 답보중인 완주전주 통합문제를 이번 선거구 획정 기회를 삼아 하나로 뭉치는 원동력으로 삼아야 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