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일보 신춘문예 작가들이 추천하는 이 책] 최아현 소설가 - 김진섭 ‘책기계 수집기’

김진섭 <책기계 수집기> 표지/사진=알라딘 홈페이지

친구 집에 놀러 가 책장을 들여다보면 그가 보인다. 깔끔하게 정돈된 책장에도, 집안 여기저기 조금씩 꽂힌 책에도 친구가 있다. 이렇게 자신의 일부를 집안 곳곳에 드러내고 살면서도 책이 물성을 가지고 내게 오기까지의 과정을 생각해 본 적은 없다. 작가의 손을 떠난 원고는 어디를 지나 나의 책장에 자리 잡았을까. 지금이야 어렴풋이 거대한 인쇄 기계 속에서 깨끗하게 등장하는 책을 상상할지도 모른다. 그렇다면 그전에는 어땠을까? 어떤 모습과 어떤 수고를 지나 사람들의 책장으로 들어갔을까? 구텐베르크가 인쇄술을 발명한 뒤에, 오늘처럼 거대하고 많은 일을 알아서 하는 기계가 공간을 채우기 전에, 그 사이의 시간 속에서 책을 만드는 과정은 어땠을까? 사람의 손과 기계가 한데 뒤섞여 일하던 때가 궁금해졌다. 책을 집어 들어 표지를 넘겨보자마자 나는 책을 다시 내려 놓지 못했다. 표지 다음장에는 독특한 안내 문구가 쓰여있기 때문이었다.

“책 위, 아래와 책배를 재단하지 않고, 읽는 독자들이 장인들의 손맛과 정성을 느끼면서 낱장을 북 나이프로 한 장 한 장 절취하면서 읽기를 권합니다.” (‘책기계 수집기’ 중에서) 어제의 어제 사이를 상상하기 좋아하는 나의 호기심을 자극하기에 충분했다.

이 책은 책과 관련된 곳이라면 전국 어디든 달려가 군침을 흘리던 어느 수집가의 기록이다. 동시에 그가 만나거나 수집한 기계와 시간을 보낸 손들의 이야기가 함께 담겼다. 2013년 완주군 삼례로 자리를 옮겨 책공방을 운영하는 저자는 수집한 책 기계들의 여정을 정리하기 위해 이 책을 만들었다. 기계를 처분한다는 소식을 들으면 서울, 목포, 광주, 남원, 전국 어디 할 것 없이 달려가 공간을 들여다보며 사람들과 이야기를 나눴다. 기계를 모으는 동안 나름대로 정한 그만의 원칙도 있었다. 선배 장인들이 사용한 기계일 것. 크기는 되도록 작을 것. 국산이어야 할 것. 원칙이 늘 지켜진 것도, 기계를 가져오는 일이 모두 성공적인 것도 아니었다. 나는 그가 무리 없이 기계를 책공방으로 옮겼을 때는 기뻐하기도 하면서, 또 귀한 물건을 허망하게 놓친 아쉬움은 책장을 넘기는 것으로 달래기도 하면서 읽었다. 

“디지털 인쇄가 보편화되면서 수많은 책 기계들이 속속 사라지고 있다. 이 추세라면 활자인쇄시대를 증언할 기계들은 얼마 지나지 않아 멸종동물처럼 씨가 마를지도 모른다. 쓸모가 사라진 지금이야 한낱 고물처럼 보이겠지만, 실은 지금 남겨두지 않으면 다시는 볼 수 없을 역사의 증거품들임을 알아야 한다.” (‘책기계 수집기’ 중에서) 

책을 다 읽고 나니 책상에는 책배를 자르며 흩날린 먼지가 수북해졌다. 미숙한 솜씨로 책을 가르며 읽다 보니 어딘가는 크게 잘못 잘린 종이를 보고 있자니 마음 한쪽이 심란하기도 하다. 그가 놓친 귀한 자료들이 생각나면 입이 텁텁해졌다. 그러나 얼마나 다행인가. 역사의 조각을 모아 나와 당신을 활자 인쇄의 시대에 초대하는 이가 있으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