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요금 납부도 어렵다” 등록금 인상 카드 꺼낸 전주교대

지난해 1.58% 이어 올해 등록금 4.04% 인상, 학생수 가장 적어
부산, 광주, 춘천교대 등은 장학금 포기하면서까지 일제히 올려
대학등록금 자율화 요청에 정부 "검토 안해” 재정난 대책 일축

전주교육대학 전경.

10년 이상 이어진 등록금 동결과 학생수 감소가 겹치며 재정난이 가중된 전주교육대학교가 ‘등록금 인상’을 결정했다. 

지난해 1.58% 이어 올해는 4.04%을 올려, 2년 연속 등록금을 인상한 것이다. 

1일 본지 취재결과 전주교대는 2023학년도 학부, 대학원 등록금을 4.04% 인상하기로 최근 결정했다.

고등교육법에 따르면 등록금은 3년 평균 물가 상승률의 1.5배(4.05%)까지 올릴 수 있어 사실상 최대한도 까지 올린 셈이다.

이로써 전주교대 학부는 지난해 166만 2000원에서 172만 9000원으로 1인당 6만 7000원이 인상된다. 대학원은 인문사회계열이 8만 3000원, 자연예체능 계열은 8만 8000원이 오른다.

전주교대는 2010년 등록금 동결이후 전국 10개 교대중 학생수가 가장 적다면서 인상이 불가피했다는 입장이다.

여기에 학교 재정이 어려워져서 공공요금 납부도 힘들어 신규사업 추진은 엄두도 못냈다고 설명했다.

전주교대 관계자는 “전국 교육대학 중에서 전주교대의 정원이 가장 적다. 특히 코로나19를 맞아 학생들이 휴학도 많이 하고 자퇴하는 학생도 늘었다”며 “인건비 등 경직성 경비를 차치하더라도 신규사업은 아예 엄두를 내지 못한다. 공공요금 납부도 어려울 지경이다”고 토로했다.

최근 전국교대는 잇달아 등록금을 인상하고 있다. 청주·춘천 교대가 4.2%, 부산교대는 4.0%를 올렸다. 이들 대학들은 정부 장학금을 포기하면서까지 등록금을 인상했다. 현재 정부는 국가장학금 2유형 지원 요건에 학부등록금 동결·인하를 조건으로 내걸고 있다.

이처럼 재정난이 가중되자 한국대학교육협의회는 지난 31일 전국총회에서 정부에 등록금 규제 완화와 지역사회 혁신을 위한 지원 확대 등을 요청했다. 하지만 이주호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지금 단계에서는 등록금 자율화에 대해선 정부 차원에서 검토하고 있지 않다"고 말했다.

한편 전북대를 비롯한 전주대, 원광대, 우석대 등 도내 4년제 대학들은 학부모와 학생의 경제적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등록금 동결을 결정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