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악으로 깡으로 버티지" 폐지값 폭락에 노인 생계 살얼음판

1년 새 신문지 4.1%, 골판지 43.4% 하락
한 달 꼬박 일하면 월급 15만 5000원

도내 폐지 가격이 신문지 140원, 골판지 81원으로 각각 4.1%와 43.4% 떨어져 폐지 수집 어르신들이 생계에 큰 어려움을 겪고 있는 6일 한 어르신이 손수레에 폐지를 모으고 있다. 오세림 기자

"돈 얼마 못 벌어도 그냥 악으로 깡으로 버티면서 살지⋯"

경기 침체 여파로 종이 수요가 줄어들면서 폐지 가격이 큰 폭으로 하락했다. 폐지를 수집해 생계를 유지하던 노인들도 하루하루 살얼음판 위를 걷고 있다.

전북지역 폐지 평균 가격은 1kg 당 신문지 140원, 골판지(박스) 81원으로 1년 동안 가격이 각각 4.1%, 43.4% 떨어졌다. 폐지 가격은 끝도 없이 떨어지고 공공요금, 장바구니 물가 등 생활비는 끝도 없이 오르면서 폐지를 수집하는 노인들의 삶에 빨간 불이 켜졌다.

전주시 송천동 먹자골목 주변에서 만난 임병례(75) 할머니는 영하권 날씨에도 겨우 티셔츠 한 장, 기모 플리스 하나 걸치고 폐지 수집에 한창이었다. 매일같이 오전 8시부터 낮 12시, 오후 6시부터 10시까지 하루 두 차례 송천동 일대를 돌며 폐지와 각종 고물을 수집한다.

임 할머니는 거리에 버려져 있는 택배 박스, 치킨 양념이 담겨 있던 플라스틱 통, 18L 식용유가 담겨 있던 사각철통 등을 모두 수레에 실었다. 한 두 시간이 지나자 수레에는 금세 고물이 쌓였다.

이미 수레에 많은 양을 싣고도 한 푼이라도 더 벌기 위해 거리 곳곳에 세워져 있는 쓰레기 종량제 봉투까지 하나하나 풀어 돈이 될 만한 물건을 찾기도 했다. 이렇게 해서 버는 돈은 겨우 하루 1만 원, 시급으로 따지면 1250원이다.

현재 전북지역 고물상에서 책정하는 폐지 가격은 1kg에 50∼70원대로 형성돼 있다. 전주의 한 고물상 업주는 "폐지는 1kg 당 마진이 10∼20원밖에 안 된다. 전에는 폐지 50kg 주워오면 몇 만 원은 줬는데 지금은 많이 줘야 5000원이다. 마진 안 남는다는 이유로 다시 돌려보낼 수도 없고 어려움이 이만저만 아니다"고 토로했다.

폐지 수집 노인이 하루 5000원씩 한 달(31일) 꼬박 일했을 때 버는 돈은 겨우 15만 5000원인 셈이다. 난방비를 내기에도 부족한 돈이지만 대다수 노인들이 일자리를 찾지 못해 오늘도 수레를 끈다.

임 할머니는 "내 나이에 어디 가서 어떻게 일할 수 있겠나. 받아 주는 곳도 없어서 갈 수도 없다"며 다시 허리를 숙이고 폐지를 주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