갈수록 인구는 줄고 경제는 어려운 전북이 암과 치매 등 악성 질병은 전국 최고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10만 명당 암 발생율과 치매 유병율이 각각 전국에서 2위와 3위를 차지하고 있는 것이다. 어려운 집안에 우환이 끊이지 않는다더니 전북이 그런 꼴이다. 전북도와 시군 등 자치단체는 도민들의 건강을 챙기고 개인들도 경각심을 가졌으면 한다.
‘2022년 전라북도 공공보건의료지표 통계집’과 국립암센터 등에 따르면 전북은 2019년 기준 암 발생률이 인구 10만 명당 304.2명으로 전국 16개 광역 시·도 가운데 313.3명의 부산 다음으로 높았다. 치매 유병률 또한 2021년 기준 11.7%로 전국에서 3번째로 높다. 이처럼 도민들이 만성질병에 많이 걸리는 것은 보통 일이 아니다.
이들 질병은 대체로 경제력이나 노인 인구와 관련이 깊기 때문이다. 경제력이 있으면 아무래도 영양 있고 균형 잡힌 식단을 꾸릴 수 있고 정기적인 건강검진 등 건강에 관심을 가질 수 있어서다. 생계에 매어 있으면 병원 문턱이 높을 수밖에 없지 않은가. 전북의 경우 2021년 지역내총생산(GRDP)은 3091만 원으로 전국 4012만 원의 77% 수준에 그치고 있다.
또 암과 치매는 나이 들수록 환자가 급증하는 추세를 보인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2021년도 우리나라 암 환자 수는 153만 명대다. 이들 환자의 연령대별 발생 현황을 보면 60∼69세 38%, 70∼79세 31%, 80대 이상 67%로, 40대 9%, 50대 8%에 비해 월등히 높다. 나이가 들수록 암 발생율이 현저히 높아진다. 전북의 경우 2022년 말 65세 이상 고령인구는 41만 명으로 전체 인구의 23.2%를 차지한다. 전남 25.2%, 경북 23.8%에 이어 세 번째로 높다.
이처럼 암과 치매는 경제력과 나이에 비례한다. 전북은 경제력은 낮고 고령인구가 많아 갈수록 이러한 만성질병에 취약할 수밖에 없는 구조다. 이제 전북도 등 자치단체는 새만금 개발이나 대기업 유치도 중요하지만 도민들의 건강지표 향상 등 건강을 보살피는데도 신경을 썼으면 한다. 도민들 역시 흡연이나 음주를 줄이고 운동과 조기 검진 등 스스로 자신의 건강을 돌보는데 소홀히 해선 안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