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지역 대학 지원 권한의 지자체 이양과 관련한 전북도의 대응 체계가 도마에 올랐다.
전북도의회 김정수 의원(익산2)은 7일 열린 전북도정 상반기 업무보고에서 최근 정부 주도로 논의되고 있는 ‘대학 지원권한 지자체 이양’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고민과 혁신이 이뤄져야 한다고 촉구했다.
김 의원은 “현 정부가 출범한 이후 대학 지원권한을 지자체로 이양하려는 움직임이 있음에도 현재 전북도의 대응 체계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라며 “지난해 하반기 교육소통협력국이 출범한 이후 대학협력팀이 신설됐는데, 여전히 관련된 지원사업은 통상적인 수준에 머물러 있고, 인력 또한 4명(팀장 1, 주무관 3)에 불과한 상황으로 지방대학-지역 관련 정책 변화에 발 빠르게 대응할 수 있는 체계를 신속히 마련해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대학협력 정책방향에 대해서도 단순 취업양성소로 그치는 것이 아닌 순수 학문으로서의 본질을 되찾을 수 있는 방안이 고려돼야 한다고 주문했다.
이명연 의원(전주10)은 혁신도시 활성화사업의 지속적인 추진을 요청하며, 전북 전체 시군 어디서나 원활한 교통여건이 조성될 수 있도록 단일사업이 아닌 시군 간 균형을 고려한 큰 그림의 도로교통계획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윤수봉 의원(완주1)도 지방도 진입로는 시군도에 속하더라도 지방도 확포장사업에 포함시켜 함께 조성할 필요가 있으며, 지방도 개설시 계획단계 이전부터 주민들의 의견을 충분히 듣고 주민요구사항을 반드시 도로건설계획에 반영할 수 있도록 절차와 규정을 정비하라고 요청했다.
양해석 의원(남원2)은 전북권 철도망 구축사업의 신속한 추진을 당부하고, 도내 동부 산악권 지자체와 서부 해안권 지자체간 교통망이 미흡하므로 전북도가 조성하는 지방도 조성사업에서 동서간 연결 교통망을 확충해 줄 것을 요청했다.
김희수 의원(전주6)은 전북이 인구소멸 위기에 처해있고 거기에 더해 1인 가구가 점점 늘어나고 있어 2050년에는 전체가구의 40%를 상회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농업기술원도 1인가구 소비트랜드에 맞춰 개발에 힘쓸 것을 주문했다.
서난이 의원(전주9)은 기후위기에 대응해 작물을 연구하고 시설투자를 통해 이에 맞춰가려 하고 있지만 소비트랜드가 너무 빨리 변화하고 있어 농가 소득보장이 안정적으로 이뤄지고 있지 않은 문제점을 지적하고 대책 마련을 주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