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만금 신항은 명칭부터가 잘못되어있다. '군산새만금신항'으로 부르는 것이 옳다. UN해사회의설립협약채택(1958년 3월17일 발효)으로 현재174개국이 회원국이며 우리나라는 1962년 4월10일에 가입했다. 가입당시의 명칭이 군산항으로 되어 있다. 군산항이라는 명칭은 세계적으로 잘 알려져 있음을 알아야 한다. 새만금 신항 명칭은 해사지도에도 없다. 국제해사기구에 나타난 항만의 명칭사용은 세계화가 되어 있으며 항만의 역사를 가리키는 것이다. '군산항' 명칭 사용은 1백년이 넘었으며 국제해사기구에 가입한지가 60년이 넘었다. 이제 새만금 신항 명칭사용을 '군산새만금신항'으로 바로 잡아야 한다. 이와 함께 공항명칭도 '군산새만금국제공항'으로 해야 한다. 국제공항의 명칭사용도 항만명칭과 똑같은 것으로 보아야 한다.
필자는 이미 새만금신항이 아니라 '군산새만금신항'이래야 하고 공항명칭도 '군산국제공항'으로 해야 한다고 지상을 통해 주장한 바 있다. 명칭을 갖고 논란이 빚어지자 군산시 의회는 관할권은 물론, 항 명칭자체도 '군산새만금신항'으로 해야 하며 이는 너무도 당연한 것이라고 주장한다. 명칭사용 변경주장은 늦은 감이 없지 않으나 다행한 일이다. 이는 전북도 차원에서 지금부터서라도 '군산새만금신항'으로 사용하면 된다. 따라서 새만금 개발청과의 명칭사용변경에 대해서는 협의하면 되리라고 본다. 관할권문제는 중앙분쟁조정위원회에서 결정을 하겠지만 신항은 엄연히 군산해역의 관할이다. 항만이 인공 섬에 건설되고 있으며 제방도로까지는 다리를 건너야 한다. 제방관할권과는 다른 차원이다. 전북도로서는 '군산새만금신항' 명칭사용 배경설명이 충분한설득력이 주어지기 때문에 도민들로 부터도 타당한 결정이라는 평가가 나올 것이다.
새만금 사업에 대해 김제시의 관리권문제에 대해 제방에 이어 항만까지 김제관할이라는 주장은 '군산'이란 명칭사용에 걸림돌만 던지는 꼴이 될 것이다. 이는 부적절한 태도이다. 애초 새만금사업과 관련해서 김제시는 거들떠보지도 않았다. 이유는 불가능한사업으로 생각했기 때문이다. 필자는 전북일보 기자 재임당시인 1978년부터 우리나라 최초로 서해안에 대단위 간척지를 만들어야 한다고 주창했다. 국토확장과 식량안보라는 차원에서 계속된 주창은 드디어 1983년부터 국가적 차원에서 검토하기 시작한 것이다. 해역 구역은 오늘의 제방으로 최종 확정됐다. 이 내용에 대해 정치권은 선거철만 되면 새만금사업을 착수하겠다는 공약만 남발하고 착공은 실종 상태였다. 결국은 1990년 노태우 대통령과 당시 제1야당 총재인 김대중 전 대통령과 청와대영수회담에서 담판에 의해 1991년에 착공토록 하겠다는 확약을 받아냈다. 이약속이 지켜진 것이다. 한국농어촌공사는 1991년 11월 11일 노태우 대통령과 관계 장관, 농어촌공사 사장, 최용복 전북지사, 김철규 전북도의회 의장, 지역주민 등이 참석한 가운데 천지개벽을 이루는 기공식을 거행했다. 이것이 오늘의 새만금 사업이다.
제방공사가 진행되는 과정에서 환경단체의 반대로 공사가 중지되는 등 법정으로 비화됐으나 결국 법원의 공사 진행 확정판결로 준공에 이른 것이다, 제방공사와 관련해서 공사비 예산배정의 부진으로 필자가 도의회 의장 재임시 예산확보를 위해 부안출신 국회 이희천 의원(고인)과 함께 예결위원 방마다 찾아다니면서 예산확보에 매진했다. 그러나 김제 출신 어느 누구도 관심이 없었다. 따라서 관활 구역은 군산, 김제, 부안 등 3시군으로 되어 있으나 어촌계 해역 경계선이 옥구 앞바다에서 부안군 가력도 까지의 해역을 군산, 옥구지역 어촌계구역으로 되어있는 게 사실이다. 전북도는 3시의 관할권 문제와 관련해서는 중앙분쟁조정위 결정에 따른다 해도 전북도차원에서는『군산 새만금신항. 군산새만금국제공항』명칭을 사용하는 것은 너무도 당연한 일이다. 이제 본격적으로 새만금사업진행이 되는 만큼 전북도의 명칭사용변경결정이 하루속히 이루어져야 한다.
/김철규 시인∙전 전북도의회 의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