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도의회 "신동진 벼 공공비축미 매입 제한 철회하라"

신동진 벼 보급종 공급 중단 단계적 추진 요구
전북도, 28일 농식품부에 정책 유예 건의 계획

전북도의회 의원들이 27일 기자회견을 열고 신동진벼 공공비축미 매입 제한 철회를 요구하고 있다./ 사진=전북도의회 제공

전북도의회가 지역 대표 쌀 품종인 신동진 벼의 공공비축미 매입 제한 철회를 촉구하고 나섰다.

전북도의회 농산업경제위원회 의원들은 27일 도의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신동진 벼의 가치와 우수성은 이미 입증됐는데 정부가 대한민국 주력 쌀 품종을 하루아침에 바꾸겠다는 것은 그동안 쌓아온 신동진 벼의 브랜드 가치와 시간, 노력, 투입 예산을 모두 뒤엎고 포기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신동진 벼는 지난해 기준 전북 전체 벼 재배 면적의 53%를 점유한다"며 "신동진 벼 대신 다른 품종을 도입할 경우 농가 소득이 크게 감소할 수밖에 없어 그 손해는 고스란히 농민들의 몫으로 남을 것"이라고 우려했다.

그러면서 "벼 품종을 결정하는 중차대한 사안을 탁상에서 결정해서는 안 된다. 최소한 현장에 있는 농민들과 소통해야 한다"며 "새 품종을 도입할 경우 원활한 종자 보급, 안정적인 재배를 위해 농가가 직접 시험 재배할 수 있는 기간이 필요하다. 농가 타격이 불가피한 만큼 충분한 유예 기간을 두고 기존 품종을 단계적으로 줄여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의원들은 정부에 신동진 벼 공공비축미 매입 제한 및 보급종 공급 중단 계획 철회를 재차 촉구하며 농민과의 소통, 양곡관리법 개정안 수용, 농가 소득 보전 대책 마련 등을 요구했다.

한편 신동진 벼 보급종 공급 중단과 관련해 전북도는 28일 농림축산식품부를 방문해 정책 유예를 건의한다. 참동진 등 대체 품종의 농가 시험 재배 기간이 필요하다는 이유로 품종 전환 시기를 2∼3년간 유예해 줄 것을 건의할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