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익산형 일자리' 지정 초읽기⋯민관합동지원단 실사까지 9부 능선 넘어

이달 정부 상생형일자리 심의위원회 심의 전망

지난해 11월 열린 익산형 일자리 상생협의회에서 참석자들이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사진=전북도 제공

전국 첫 농식품산업 상생형 일자리 모델인 '익산형 일자리' 지정이 가시화되고 있다.

정부 상생형 일자리 민관합동지원단은 지난달 말 익산형 일자리 지정을 위한 현장실사를 진행했다. 민관합동지원단의 현장실사는 민간 전문가 그룹의 평가로 정부 상생형 일자리 지정 여부를 판가름하는 결정적인 심사 절차다. 이후 정부 상생형 일자리 심의위원회의 최종 심의·의결을 거쳐 지정된다. 전북도는 이달 안에 정부 상생형 일자리 심의위원회가 열릴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전북도는 지난 현장실사에서 익산형 일자리에 대한 긍정적 평가가 이어져 이달 안으로 익산형 일자리 지정이 이뤄질 것으로 기대했다. 전북도 관계자는 "익산형 일자리는 서류 평가에서도 기준을 훨씬 웃도는 점수를 받았다"며 "이번 현장실사에서는 정부 지원(3년)이 끝난 이후 운영 계획에 대한 보완 요청이 있었다. 2025년이 아닌 2027년까지의 운영 계획을 추가하는 작업을 하고 있다"고 말했다.

전북도와 익산시는 지난해 11월 익산형 일자리의 밑그림을 완성하고 정부에 지정 신청서를 제출했다. 익산형 일자리는 익산의 향토기업인 하림그룹이 2025년까지 국가식품클러스터 산업단지 내에 2398억 원을 투자해 하림푸드를 설립하고 230명을 채용하는 대규모 투자, 일자리 창출 사업이다. 익산 제4산업단지에 있는 하림산업, HS푸드의 시설 투자도 동시에 이뤄져 하림의 전체 투자 금액과 정규직 채용 인력은 각각 3625억 원, 575명으로 추산된다.

한편 전주형 일자리는 투자기업 1곳이 협력기업으로 전환되며 새롭게 투자계획서를 작성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향후 전주형 일자리도 서류 심사가 완료되면 정부 상생형 일자리 민관합동지원단 현장실사, 심의위원회 심의·의결 절차를 거치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