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지역 소비자 물가 상승률이 지난해 4월부터 11개월 연속 5∼6%대를 넘기면서 소비자들의 장바구니 부담이 나날이 가중되고 있다. 에너지 가격 인상 여파가 주요 먹거리 가격, 외식 물가 등에도 영향을 끼치며 고물가 상황이 길어지고 있다.
2월 전북지역 소비자 물가 상승률은 전국(4.8%)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강원이 5.3%로 가장 높은 소비자 물가 상승률을 보였으며 전북·광주가 5.1%, 충북·충남·경북이 5.0%, 전남이 4.9%, 서울·대구·경기·전남이 4.8%, 인천·울산·제주가 4.7%, 부산·대전·세종이 4.6%로 뒤를 이었다.
6일 호남지방통계청 전주사무소가 발표한 2023년 2월 전북 소비자 물가 동향에 따르면 2월 소비자물가는 5.1%, 소비자들이 체감하는 생활물가지수는 5.8%, 신선식품지수는 7.0% 상승했다.
품목 성질별로는 전년 동월 대비 농·축·수산물은 고등어(25.9%), 파(39.2%) 등을 중심으로 4.2%, 공업제품은 등유(28.2%) 등을 중심으로 4.9%, 서비스는 보험서비스료(12.2%), 외래진료비(1.8%) 등을 중심으로 3.7% 올랐다.
지출 목적별로는 주택·수도·전기 및 연료(10.2%)가 큰 폭으로 상승했으며 식료품 및 비주류음료·음식 및 숙박(7.5%), 기타 상품 및 서비스(6.3%), 의류 및 신발(5.9%), 가정용품 및 가사 서비스(5.8%), 오락 및 문화(4.8%) 등 모든 분야에서 오른 것으로 집계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