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 선출된 조합장, 농어촌 살리는데 앞장서라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가 8일 끝났다. 말도 많고 탈도 많은 가운데 이날 순창군 구림면에서 안타까운 대형 교통사고까지 일어났다. 구림농협 조합장 선거에 투표하기 위해 줄지어 서 있는 조합원들을 향해 1t 봉고트럭이 돌진해 20명 가량의 사상자가 발생했다. 대부분 고령의 조합원들이라 후유증이 클 것으로 보인다.

이번 3·8 조합장 선거는 전국 1347개 단위조합에서 실시되었으며 전북에서는 110개 조합에서 조합장을 선출했다. 이중 단일 후보로 나와 무투표 당선된 조합이 13곳이다. 우선 새로 당선된 조합장들에게 축하의 박수를, 고배의 아픔을 맛본 낙선자들에게 위로의 말씀을 드린다.

지금 농어촌은 심각한 고령화와 쌀값 폭락 등으로 위기에 처해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농어촌 지역의 최대 조직인 농협과 수협 등의 책임은 막중하다. 특히 전북은 농도로서 최근 일어난 신동진벼 파동 등으로 농민들의 삶은 갈수록 어려워지고 있다. 이러한 때일수록 농협의 건실한 운영과 경쟁력 강화가 필수적이다. 이번에 뽑힌 조합장들은 이러한 농어촌의 위기를 최전선에서 돌파할 참일꾼이 되었으면 한다.

그러나 현실은 반드시 그렇지만도 않은 듯하다. 조합장에 당선되면 4년 동안 제왕적 권한을 갖고 군림하려 드는 경우가 없지 않다. 억대 연봉에 직원 인사권까지 쥐고 있어 무소불위의 권력이다. 여기에 하나로마트나 로컬푸드점, 주유소, 영농자재센터 등을 운영하고 대출 등 신용사업까지 영향력을 미치고 있다. 농어촌지역의 경제 수장인 셈이다. 그래서 전국동시조합장선거를 ‘제2 지방선거’라 부르기도 한다. 이들은 또 정치권을 넘보는 경우도 상당수다.

이에 따라 선거 때마다 조합장 자리를 두고 학연 혈연 지연에 금품살포까지 횡행하는 게 현실이다. 이번 선거가 끝난 후 선거법 위반 등으로 수사를 받고 중도 하차하는 경우도 발생할 것이다. 국회는 이번 기회에 현재 계류 중인 비상임 농협조합장의 연임 횟수를 제한하는 법률 개정안을 통과시켰으면 한다. 또한 정부는 공명선거를 위해 후보자 토론회와 공동연설회 실시 등 부정선거를 막을 수 있는 제도적 장치를 마련해주길 바란다. 어쨌든 이번 선거는 막을 내렸다. 이번에 선출된 조합장들은 위기에 처한 농어촌을 살리는데 앞장섰으면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