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갈 길 먼 전라감영 복원 (하)대안] 지지부진한 전체복원, 국비 지원으로 속도내야

전라감영 전체복원 통해 전라도 중심지라는 역사적 상징성 부각 필요
감영의 가장 넓은 남편부지 확보 위해 완산서 이전 및 민간 사유지 매입 절실
전주시 “시급한 문제인 국비 지원 위해 전주 역사 고도 지정에 총력 기울일 것”

 

전라감영 전경./사진=오세림 기자

전라감영의 전체 복원은 전주가 전라도의 중심지라는 역사적 상징성과 관광문화 거점 도시의 역할 등 자긍심 회복,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무엇보다 중요한 문제다.

박제화 되지 않고 전체 복원을 위해서는 행정과 정치권의 협치가 중요하지만 그동안 전주시는 제대로 된 논의를 하지 못했다. 전체 복원을 위한 예산 확보가 가장 큰 과제가 된 것도 이 때문이다.  

전라감영은 강원 감영이나 경상 감영과 여건이 다르다. 강원과 경상감영은 국가지정문화재여서 국비 지원을 받지만 전라감영은 도지정문화재여서 국비 지원을 받지 못한다. 상황이 이러하니 시는 전체 복원에 투입될 예산 규모를 책정해 놓고 예산 확보를 위한 방안을 찾고 있다.  

부지 확보도 전라감영 전체 복원을 위해 해결해야 할 과제다. 감영에서 가장 넓은 범위를 차지하는 공간은 남편 부지(전주완산경찰서 방향). 그러나 이 곳은 현재 완산경찰서가 들어서 있어 경찰서가 이전하지 않으면 확보 자체가 불가능한 상황이다.   

전주시는 지난 2020년 전라감영 동편 부지를 복원한 1단계 사업을 완료한 후 오는 2030년까지 총사업비 1200억 원을 투입해 감영의 나머지 서편과 남편 부지를 확보해 전체 복원을 완료하겠다고 밝혔다. 이후 시는 전북도로부터 도유지인 서편부지를 확보해 광장으로 정비하고 지난해부터 발굴 작업과 3D 스캔을 진행하는 등 전체 복원의 물꼬를 텄다.

하지만 남편 부지는 국유지인 전주 완산경찰서 용지와 사유지가 혼재해 있어 확보를 위한 후속 절차는 진행되지 못하고 있는 상태다.   

전라감영 전체 복원의 최대 관건인 완산경찰서 이전은 지난 2009년 전라감영 복원 추진위원회가 구성된 이후 전문가들 사이에서도 그 필요성이 꾸준히 제기됐다. 

전주시도 전라감영 전체 복원 계획이 가시화된 직후, 완산경찰서와 구체적 논의를 시도 했지만 이전할 부지가 확정되지 않으면서 계획은 진전되지 못하고 있다. 

부지와 예산 확보는 전라감영 전체 복원을 위해 가장 먼저 해결되어야 할 과제지만 이들 중 어느 쪽도 만만한 과제가 아니다. 예산 확보도 국비 지원을 추진하고 있지만 국가지정문화재나 사적으로 지정되지 않는 한 어려운 일이다. 전라감영은 현재 도지정문화재로 등록되어 있기 때문이다. 실제 시는 지난 전라감영 동편 복원 사업비 104억 원을 모두 도·시비로 충당했다. 

따라서 예산확보를 위해 국가지정문화재 추진을 서둘러야 한다는 의견이 제기되지만 국가문화재나 사적 지정은 복원의 절차와 과정을 고려해 신중하게 추진해야 한다는 의견도 높다. 전문가들은 전라감영을 국가지정문화재나 사적 지정이 아니라 전주의 역사 '고도(古都)' 지정을 추진하는 방법도 바람직하다는 입장이다.   

시 관계자는 “후백제의 수도이자 조선 왕조의 발흥지 였던 전주의 역사성을 부각해 경주‧부여‧공주‧익산에 이어 전주가 국내 다섯 번째 ‘고도’ 로 지정되는 것을 추진 중이다” 며 “고도가 지정되면 국비 확보에 어느 정도 진전이 있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고 밝혔다. 

이준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