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빼앗긴 개념들의 시대”

김은규 우석대 미디어영상학과 교수

위 제목의 표현은 ‘대통령과 언론’을 주제로 열린 세미나에서 어느 철학자가 한 말이다. 평소 동일한 문제의식을 가지고 있었기에, 그의 표현을 취하여 쓴다는 것을 먼저 밝힌다. 

빼앗긴 개념들에 앞서, 한국 현대사 과정에서 잃어버린 개념들에 대해 먼저 언급해 보자. 대표적인 것이 바로 ‘동무’와 ‘인민’이다. ‘동무’는 벗을 뜻하는 순우리말이다. 어린 시절 같이 놀던 또래, 나이가 비슷하며 마음이 서로 통하여 가깝게 사귀는 사람을 지칭하는 용어이다. ‘동무들아 오너라’라고 시작하는 ‘봄 맞이 가자’라는 동요, 그리고 이은상 작곡의 가곡 ‘동무생각’은 아직도 우리가 즐겨듣는 노래이다. 그런데 한국전쟁 이후 한반도 남쪽에서 동무라는 용어는 금기어가 되었다. ‘동무 따라 강남 간다’는 속담도 ‘친구 따라 강남 간다’로 바뀌었다. 

‘인민’도 마찬가지이다. 인민은 보통 사람들을 의미한다. 정치적, 국적상의 구분 없이 상호 간에 위계가 없는 자연인들의 집단을 가리키는 용어이다. 때문에 학문적으로 세심해야 할 경우 ‘국민’이나 ‘시민’과 구별하여 사용하기도 한다. 1948년 제헌헌법 초안에서는 ‘인민’이라는 용어가 제안되기도 했지만, 이념적 문제로 밀려나고 ‘국민’으로 대체된 바 있다. 위 두 용어는 남북 분단으로 인한 이념 대립 속에서 정치적 금기어가 되었다. 함부로 사용했다가는 서슬 퍼런 국가 기관에 불려가 곤욕을 치르기도 했다.

새로운 이념 대립의 시대에도 비슷한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차이가 있다면 금기어가 되어 해당 단어를 사용하지 못한다는 것이 아니라, 보수의 용어로 전용되면서 본래 의미가 변질되고 있다는 것이다. 빼앗긴 개념들의 시대이다. 현 통치 권력과 그 도우미들이 주로 언급하는 자유, 공정, 정의, 법치라는 용어가 그렇다. 자유를 강조하지만 자본의 자유에만 중심이 실린다. 공정을 부르짖지만 차별은 애써 외면한다. 법치는 그들만의 편익과 통제를 위해 적용된다. 같은 편들은 옹호하고 사회적 약자들을 억압하는 통치 과정에서 자유, 정의, 법치와 같은 개념들이 동원되고 있음이다. 이 속에서 정의가 무엇인지는 논의하기조차 힘들다. 

행사장의 퍼포먼스에서도 개념의 전용이 일어난다. 레미제라블에 나오는 ‘민중의 노래’는 프랑스 혁명을 배경으로 가난한 사람들과 약자들을 대변하는 내용이다. 그러한 노래가 보수 정당의 전당대회에서 대통령 입장의 배경 음악으로 사용되었다고 하니 가히 빼앗긴 개념의 시대이다. 온라인에 조롱과 풍자가 올라오고, 모욕을 느꼈다는 반응이 많은 것은 어이 상실된 개념 때문이다. 과거 보수정부 시절 ‘임을 위한 행진곡’ 같은 노래를 애써 외면하거나 반대했던 것은 그나마 개념은 있었던 셈이다. 지금의 보수 정권은 무지하거나 아주 뻔뻔하거나, 둘 중의 하나인 듯하다.

빼앗긴 개념들의 시대에는 갈라치기 전략이 내재되어 있다. 규범적 수사들을 통해 얼핏 원칙을 내세우는 것 같지만, 실상은 피아(彼我)를 구분하면서 적대감을 키우고 자기 세력을 결집시키는 정치 과정으로 이어진다. 취임식에서 비판했던 반지성주의의 전형을 현 대통령 자신이 직접 보여주고 있다는 것이 위 철학자의 지적이다. 그 때부터 빼앗긴 개념들의 시대가 시작된 것이리라.

/김은규 우석대 미디어영상학과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