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구구조 변화, 지역맞춤형 대책 내놔야

청년층의 유출과 고령화 등 인구구조의 변화가 앞으로 전북의 지역경제 성장을 가로막을 것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한국은행 전북본부가 전북대 정호진·황운중 교수와 함께 ‘전북지역 인구구조 변화가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 분석’을 주제로 연구용역을 수행한 결과다. 충분히 예측할 수 있는 일이지만 정확한 수치로 분석 결과가 나오니 심각함이 피부로 느껴진다. 이번 연구는 지금까지 연구가 국가 차원에서 이루어진데 비해 지역맞춤형 대책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결론은 우수한 기업 유치를 통해 청년층에게 양질의 일자리를 제공하고 고령인구도 적극 활용해야 한다는 것이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전북지역의 전체 인구 대비 65세 이상 노인인구 비율은 2022년 22.4%에서 2050년 46.8%로 가파르게 증가하는 반면 생산가능인구는 같은 기간 66.7%에서 45.5%로 빠르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욱이 30년 이후 전북의 고령인구는 생산가능인구를 추월해 근로자 1인당 노인부양비 가중이 클 것으로 예측됐다. 특히 열악한 산업구조로 인해 청년층의 순유출 및 고용문제는 심각한 수준이다. 2001년 이후 20년간 전북의 청년(20∼34세) 순유출 규모는 22만6000명으로 전북 전체 순유출 24만6000명의 92.1%를 차지하고 있다. 해마다 1만명의 청년층이 전북을 탈출한 셈이다. 나아가 전북의 청년(20∼29세) 고용률은 2019년 기준 46%로 전국 평균 58%보다 크게 낮은 반면 60세 이상 고령층의 고용률은 48%로 전국 평균 42%를 앞지르고 있다. 이대로 갈 경우 지역내 전체 인구 중 15세 미만의 구성 비율인 유소년 인구 비중도 2022년 11%에서 2030년 7.8%로 주저앉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는 미래 생산가능인구 측면에서 지역경제에 커다란 부정적 요인이다. 또한 향후 지역내총생산(GRDP)도 더욱 급락할 것으로 예상된다.

인구문제는 출산과 보육은 물론 교육, 주거, 소득, 문화, 복지 등 다방면에 걸쳐 세심한 대책이 요구되는 사안이다. 이 가운데 가장 시급한 것은 일자리 문제다. 하지만 변변한 기업이 많지 않은 전북으로서는 해법이 쉽지 않다. 지자체와 대학, 기업이 손잡고 실효성 있는 일자리 창출에 나서는 수밖에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