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E 시범지역 전북, 글로컬대학 선정 초미 관심

교육부 올해 상반기 10곳, 2027년까지 30곳 선정
1곳당 1000억 지원, RISE 시범지역 사실상 가산점
22일 전북도청서 호남권 글로컬대학 공청회 실시

이주호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이 13일 글로컬위원회 제1차 회의에 참석해 인사말을 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대학 한 곳당 5년간 국고 1000억 원을 받는 '글로컬(Global+Local)대학' 선정 방식이 윤곽을 드러내면서 자치단체와 대학의 행보도 빨라지고 있다. 특히 지역혁신중심 대학지원체계(RISE) 시범지역에 있는 대학이 사실상 글로컬대학 선정에 유리해, RISE 시범지역인 전북의 관심도는 더 높다.

자치단체와 대학 모두는 글로컬대학 선정 여부가 '지방대의 존폐'를 가를 것이란 전망까지 내놓고 있다. 그만큼 지방대의 상황이 심각하다는 얘기다. 그런 측면에서 자치단체와 대학은 글로컬대학이 지원 금액뿐만 아니라 각종 규제 특례, 범부처 투자 등에서 현 위기 상황을 타개할 발판이 될 것이라 판단하고 있다.

이와 관련 교육부는 22일 오후 2시 전북도청에서 '제4회 글로컬대학 공청회'를 개최한다. 전북, 광주·전남, 제주를 아우르는 호남권 자치단체와 대학을 대상으로 하는 이번 공청회에서는 글로컬대학 추진 방안을 공유하고 현장 의견을 수렴한다.

앞서 세종, 대구, 부산에서도 글로컬대학 공청회가 열린 바 있다. 교육부는 이번 전주 공청회를 끝으로 31일 글로컬대학위원회 회의를 열어 '글로컬대학30 추진 방안'을 최종 확정하고, 선정 공고를 낼 계획이다.

교육부가 밝힌 글로컬대학30 추진 방안을 보면 글로컬대학은 올해 10개 내외 대학을 시작으로 2027년까지 30개 대학을 선정할 예정이다. 대학 한 곳당 5년간 국고 1000억 원을 지원한다.

글로컬대학 선정의 핵심 요소는 '혁신'이다. 글로컬대학위원회는 글로컬대학의 기본 조건으로 △유연한 교육 체계 △지역 특성에 부합하는 실용적인 인재 양성 △지역 발전의 싱크탱크 기능 등을 제시했다.

심사는 2단계로 이뤄지는 데 1단계 심사에서는 대학이 제출한 최대 5쪽짜리 혁신기획서를 기준으로 예비지정 글로컬대학을 뽑는다. 기획서에는 산학협력 허브 역할, 대학 내·외부 경계 허물기, 과감한 대도약 혁신 추진 체계 운영, 성과관리 시스템 및 공개 방안 등 4가지 영역이 포함돼야 한다.

특히 1단계 심사에서 RISE 시범지역은 '지역적 특성' 영역 평가 시 반영을 검토할 계획이어서, 사실상 가산점을 받게 될 것으로 보인다. 지난 15일 열린 사전 브리핑에서 교육부도 "RISE 시범지역이라고 우대하지는 않는다"면서도 "시범지역은 자치단체 역량이 인정된 곳이니 (지역적 특성 영역에서) 좋은 점수를 받을 수 있다"고 밝힌 바 있다.

이후 2단계 심사에서는 예비 지정된 대학이 자치단체·산업체와 함께 세운 실행 계획을 평가한다. 1·2단계 심사는 모두 정성 평가다.

한편 글로컬대학 대상은 비수도권에 위치한 국·공·사립대학, 교육대학, 산업대학, 전문대학이다. 과학기술원, 사이버대 등은 지원할 수 없다. 2021년 대학기본역량진단 결과 일반재정지원 미지원대학(미선정·미참여), 정부재정지원제한대학은 신청이 제한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