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력은 인간의 내면을 어떻게 압박하는가.
문서정 작가의 두 번째 소설집 <핀셋과 물고기>(도서출판 강)가 새로 나왔다.
이 책에는 폭력에 대한 맹렬한 증오에 사로잡혀 있으면서도 이를 감히 상대를 향해 드러내지 못하는 인물들이 함께 등장한다.
작품 속 유주와 소정은 남성에 의한 폭력 피해 여성이란 공통점 외에도 많은 유사성을 공유한다.
이들은 비슷한 나이에 하필이면 같은 빌라에 살며, 우연히도 모두 귀를 다쳐 같은 병원을 다닌다.
차이점이 있다면 유주는 데이트폭력을 일삼던 전 남자친구의 환청에 시달린다는 것이고, 소정은 학교 선배로부터 극심한 폭행을 당한 이후 심리적 외상이 치유되지 않아 자신이 정말 회복된 게 맞는지 확인하고픈 강박에 시달린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유주는 핀셋에, 소정은 물고기에 강한 애착을 갖게 된다.
핀셋과 물고기는 폭력으로부터 상처 받은 인물들의 강박적인 내면 심리를 가장 상징적으로 드러낸다.
이철주 문학평론가는 작품 해설을 통해 "작가의 소설엔 유독 버려지는 인물들이 자주 등장한다"며 "이들은 상처를 이겨내려 하기보다는 상처 자체를 스스로 지키기 위한 무기로 삼는다"고 밝혔다.
작가는 부산에서 태어나 경주에서 자랐다.
영남대 국어교육학과를 졸업하고 오랫동안 중·고등학교 국어 교사로 일했다.
문학의 고향은 전북으로 지난 2010년 전북일보와 전북도민일보 신춘문예에 수필로 당선됐고 2015년에는 불교신문 신춘문예에 단편소설 ‘밤의 소리’가 당선되며 작품 활동을 시작했다.
그의 소설집으로 <눈물은 어떻게 존재하는가>가 있으며 공동소설집으로 <나, 거기 살아>, <여행시절>, <당신의 가장 중심>, <작은 것들>을 펴냈다.
작가의 수상 경력으로 에스콰이어몽블랑문학상 대상, 천강문학상 소설 부문 대상, 스마트소설박인성문학상이 있고 2018년과 2022년에 아르코문학창작기금을 받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