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에서 한 해 평균 500건의 산악사고가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9일 전북소방본부에 따르면 지난 2020년부터 2022년까지 3년간 전북에서 1514건의 산악사고가 발생했다.
도내 산악사고는 2020년 460건, 2021년 499건, 지난해 545건으로 매년 증가 추세다.
사고원인별로는 실족·추락이 423건(28%)으로 가장 많았고 조난 388건(26%), 질병(가슴통증) 117건(8%), 탈진·탈수 80건(5%) 등의 순이었다.
등산로별로는 덕유산이 115건(7.6%, 대둔산 88건(5.8%), 지리산 85건(5.6%), 모악산 83건(5.5%) 등의 순이었다.
산악사고가 증가함에 따라 전북소방본부는 미륵산 등 주요 등산로 사고다발 12개소를 선정하고 산악구조 능력을 갖춘 소방공무원, 의용소방대원, 민간자원봉사자를 활용한 ‘등산목안전지킴이’를 구성, 4월부터 5월까지 운영하며 산행 안전수칙 홍보활동과 순찰 등을 전개한다.
또한 도내 주요 등산로에 설치된 1575개의 안전시설물을 점검 정비하는 한편 지자체와 협력해 산악사고 다발 지역에 난간 등 안전시설물도 보강한다.
주낙동 도소방본부장은 “따뜻한 봄의 정취를 느끼고자 산을 찾는 인구가 늘고 있는 만큼 안전사고 예방을 위해서는 자신의 체력에 맞는 코스를 선택하고 산행 안전수칙 준수에 만전을 기해 줄 것을 당부드린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