익산시가 2030년까지 주택 수급계획이 적정하다는 전문가 진단에 따라 계획적 공급으로 주택시장 안정화를 꾀한다는 방침을 밝혔다.
시는 지난달 31일 국가무형문화재 통합전수교육관에서 주민 1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도심 난개발을 방지하고 쾌적한 도시 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도시·주거환경정비 기본계획 수립 용역 주민설명회를 개최했다.
이 자리에서는 용역기관 ㈜어울림엔지니어링 노수일 책임기술자의 재건축·재개발 정비예정구역안 보고, ㈔한국지역개발학회 홍경구 교수(단국대학교)의 공동주택 수요 및 공급량 분석 결과 보고 등이 진행됐다.
홍 교수는 “2020년 이후 민간 아파트 사업이 활성화돼 과잉 공급 방지를 위해 익산시 공동주택 수요 및 공급을 전면 분석했다”며 “2030년까지 전북 평균인 110% 수준까지 주택보급률을 끌어올려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현재 예정된 주택 수급이 반드시 추진돼야 한다”고 말했다.
현재 시는 주택 2만9000세대를 총량으로 설정하고, 이를 통해 아파트 과잉 공급을 방지하고 안정적인 주거 환경이 조성될 수 있도록 주택 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앞으로 주민 공람, 익산시의회 의견 청취, 관계 부서 협의, 전라북도 도시계획위원회 심의 등을 거쳐 오는 10월 중 익산시 도시·주거환경정비 기본계획을 확정·고시할 예정이다.
시 관계자는 “용역 결과를 토대로 주택 공급 조절, 노후 공동주택 재건축·재개발 유도 등 체계적이고 안정적인 주택 공급 기반을 마련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한편 도시·주거환경정비 기본계획은 10년 단위로 수립하는 것으로, 시는 지난 2021년부터 재건축·재개발 및 공동주택 사업 계획이 증가함에 따라 난개발 방지와 체계적인 주택 정책 시행을 위해 선제적으로 용역을 추진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