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더스아카데미 10기 3강 강원국 전 연설 비서관 "대통령의 말과 글"

1학기 3강 강원국 전 대통령비서실 연설 비서관
말하듯이 쓰고 쓰듯이 말하는 일 잘하는 강 전 비서관
"대통령의 말과 글" 당시 에피소드와 비법 공유

 

"말하기의 가장 기본 값은 결국 듣기입니다."

전북일보 리더스 아카데미 제10기 1학기 3강이 지난 4일 오후 7시 전북일보사 2층 우석대 공자아카데미 중국문화관 화하관에서 열렸다. 이날 강원국 전 대통령비서실 연설 비서관이 강연자로 나서 '대통령의 말과 글'을 주제로 근무 당시 에피소드와 말 잘하고 글 잘 쓰는 방법을 강연했다.

강 전 비서관은 "어렸을 때부터 전북일보를 보고 자랐는데 이곳에 와서 강연하게 되는 날이 올 줄은 상상도 못했다. 저 스스로 '나 되게 많이 컸구나!'를 생각하게 만드는 순간이다"며 처음 마주하는 수강생들에게 아이스 브레이킹(분위기 풀기용 대화)으로 다가갔다.

말하듯이 쓰고 쓰듯이 말하는 일을 가장 잘하는 강 전 비서관은 김대중·노무현 전 대통령의 연설 비서관으로 지냈던 당시 있었던 일을 생생하게 전달하며 세상에서 가장 어려운 말 잘하는 방법과 글 잘 쓰는 방법을 공유했다.

강 전 비서관이 공유한 말 잘하는 방법은 △해야 하는 말은 하기 △실수 안 하기 △하고 싶은 말이 있는 사람이 되기 △남들이 듣고 싶어 하는 말하기 △남의 말 잘 듣기 등이다.

그는 "말 잘하는 방법에 관해 이야기하고 있지만 말하기의 핵심은 결국 듣기다. 남의 말 잘 듣는 사람이 말도 잘하고 해서는 안 되는 말은 안 한다. 상대방이 어떤 이야기를 해 주면 좋아하겠다는 것을 알기 때문에 점수를 잃을 일도 없다"며 "결국 듣기라는 바탕 위에 말이라는 색을 칠하고 새기는 게 우리가 하는 말하기다"고 설명했다. 

말 잘하는 방법에 이어 글 잘 쓰는 방법에 관해서도 이야기를 꺼냈다. 그가 말하는 글 잘 쓰는 방법은 바탕에 △지식 △정보 △자기 생각 △경험 등이 깔려 있을 때다.

전북일보 리더스아카데미 제10기 1학기 3강이 열린 지난 4일 전북일보사 화하관에서에서 강원국 전 대통령비서실 연설 비서관이 ‘대통령의 말과 글’을 주제로 강의를 하고 있다. 조현욱 기자

강 전 비서관은 "실패를 두려워한다면 글을 잘 쓸 수 없다. 지식을 쌓고 정보를 얻고 경험을 하는 건 모두 무언가를 시도하고 도전했기 때문에 일어날 수 있었던 일이다. 사람들 만나고 이야기하면 글도 잘 쓸 수 있다. 전쟁 연습을 하는 것처럼 말하기, 글쓰기도 실전 연습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결국 사람과 마주하고 앉아서 많은 대화를 나누고 많은 이야기를 글로 풀어 써야만 말 잘하고 글 잘 쓸 수 있다는 이야기다. 계속해서 무언가를 반복했을 때 달콤한 열매를 맺을 수 있다는 의미다.

이어 "두어 시간 동안 많은 이야기를 했지만 뭐니 뭐니 해도 오래 사는 것 만큼 말 잘하고 글 잘 쓰는 방법은 없다. 남들이 60년 살 거, 내가 100년 살면 남들이 못 쓰는 글을 내가 쓸 수 있지 않나. 수준·양 모두 월등히 뛰어날 수 있다. 대신 운동만 하라는 게 아니라 꾸준히 글을 썼을 때만 가능한 일이라는 걸 명심해야 한다"고 마무리했다.

전주 출신으로 신흥고와 서울대 외교학과를 졸업하고 대우그룹 김우중 회장 비서실에서 연설문을 담당했던 강 전 비서관은 베스트셀러 '대통령의 글쓰기' 및 '회장님의 글쓰기'를 저술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