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증응급의료센터와 공공의대 확충을

당정이 중증응급의료센터를 기존 40개에서 60개로 확충하는 방안을 추진키로 하면서 전북에서는 권역응급의료센터인 전북대병원과 원광대병원이 센터로 지정될 가능성이 커 보인다. 생사를 넘나드는 상황 속에서도 응급실을 전전하다가 결국 소중한 생명을 잃거나 골든타임을 놓쳐 반신불수가 되는 일이 다반사로 벌어지는 현실을 타개하기 위해서는 그나마 타당한 해법이다. 당정이 지난 5일 회의를 갖고 전국 어디서나 1시간 내에 접근 가능하도록 중증응급의료센터를 확충하고 수술과 입원 등 최종 기능이 가능하게 재편하겠다고 밝힌 것은 사실 만시지탄의 감이 있다. 명실공히 선진국을 지향하는 마당에 후진국에서나 있을법한 일이 우리 주위에서 발생하는 상황이 계속되기 때문이다. 세부적이고 기술적인 것이긴 하지만 이번 기회에 중증 응급분야, 건강보험 수가 인상, 야간 휴일 당직비 지원, 적정 근로시간 보장 등 근무여건도 대폭 개선하는 것은 너무나 당연하다. 사선을 넘나드는 환자는 어느 누구나 가까운 중증응급의료센터를 찾으면 수술, 입원 등 최종 치료가 가능하도록 기능을 개편해야 한다. 그동안 논란만 거듭해온 의사 수를 대폭 확대하는 문제도 국가적 차원에서 접근해야 한다. 단기적으로 특정 직역에서 아무리 거센 저항이 있다고 하더라도 많은 국민들이 어려움을 겪고있다면 통치권 차원에서 접근해서 정면돌파 해야한다. 다 그런것은 아니지만 개업의는 돈이 넘쳐나고 봉직의는 고생은 고생대로 하면서 적은 월급만을 받는 현실은 반드시 제도적으로 개선해야만 한다. 차제에 그동안 전북 최대 현안의 하나였던 남원공공의대 문제도 정략적 판단에서 벗어나 빠르게 해결해야 한다. 서남대 폐교로 인해 발생한 전북의 의료인력 부족 문제를 해결하는 것과 지역간 의대 정원 추가 문제는 전혀 별개 차원에서 접근해야만 한다. 물론 각 자치단체들이 남원공공의대 문제를 계기로 경쟁적으로 자기지역에도 국립공공대학 설립을 요구하고 있기에 어려움이 있기는 하지만 남원공공의대는 전혀 다른 차원에서 접근해야 한다. 의사 수는 충분하고 공공의대가 들어설 경우 의료서비스 질이 떨어지고 장기적으로 의사 과잉이 발생할 수 있다는 의사협회의 반대가 있다고 해서 가야 할 길을 가지 않는 것은 정부나 국회의 직무유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