익산시가 국립한센인 요양병원 유치를 본격화 한다.
익산시 한센사업 대상자가 국립 소록도 병원보다 많지만 전문 치료시설 전무해 경제적 타당성이 높을 뿐만 아니라 사회적 약자 배려 차원에서도 한센인 전문 요양병원 건립 필요성 의견이 전문가 중심으로 제기되고 있기 때문이다.
익산시보건소는 지난 5일 노창환 전라북도 감염병관리과장, 이진윤 익산시보건소장, 우홍선 한국한센총 연합회 사무총장, 한센정착촌 4개마을 회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국립 한센인 요양병원 건립 타당성 조사 용역 중간보고회를 개최했다.
이날 중간보고회에서는 국립 한센인 요양병원 익산 건립에 따른 경제적 타당성이 매우 높다는 의견이 나왔다.
2022년 말 기준 국립 소록도 병원 한센사업 대상자보다 익산시 한센사업 대상자가 많지만 한센 전문 치료시설이 없다며 건립의 시급성이 지적됐다.
특히 한센인 정착촌이 전국에서 전북지역에 가장 많이 밀집돼 있어 한센인 의료복지를 위한 경제·타당성 또한 매우 높다는 분석이 강조됐다.
한센인들은 일제 강점기 때부터 소록도 등에 강제 이주됐다가 1959년 상지마을 설립을 시작으로 한센인 다수가 익산으로 이주해 현재까지 거주하고 있다.
전국 한센인구의 10%가 전북에 거주 하고 있고, 전북 한센 인구의 54%가 익산시에 거주하고 있는 상황이다.
덧붙여, 한센인 평균 연령은 80세로 고령이며, 74.9%가 장애인으로 전문적 치료 및 재활 등 의료서비스 제공이 절대 필요한 실정이다.
한센인들은 아직도 여전한 차별과 편견 탓에 병원 치료조차 어렵다면서 전문 요양병원 건립을 강력 요구하고 있다.
시는 이에 국립 한센인 요양병원 건립 타당성 조사 용역을 실시했고, 향후 최종 용역결과가 나오면 이를 근거로 보건복지부에 국립 한센인 요양병원 건립 필요성과 당위성을 적극 요구해 나 간다는 방침이다.
이진윤 익산시보건소장은 “국가에 의해 인권을 유린당하고, 평생을 차별과 편견 속에 살아온 한센인들이 남은 생을 편안히 마무리할수 있도록 한센 요양병원 익산 건립·유치에 본격 나설 계획이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