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상 교통 요충지였던 군산 앞바다에서 수 만점의 유물이 발굴되고 있지만, 이를 보관·전시할 시설이 없어 목포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로 옮겨지고 있다. 이러한 유물을 보존 처리해 보관·전시하고, 수중문화재 전문인력을 양성하는 '국립수중고고학 교육훈련센터' 건립에 대한 필요성이 커지는 가운데 전북도가 문화재청과 협의를 거쳐 올해 상반기 내 기획재정부에 예비타당성조사 대상사업으로 신청할 예정이어서 통과 여부에 관심이 쏠린다.
9일 전북도에 따르면 2002년부터 2022년까지 군산 앞바다 4개 유적에서 인양된 유물은 고려청자, 조선백자 등 모두 1만 6178점이다. 2002∼2003년 군산 비응도에서 12~13세기 고려청자 등 2939점, 2003∼2004년 군산 십이동파도에서 12세기 고려시대 선박 1척과 고려청자 등 8122점, 2006∼2009년 군산 야미도에서 12세기 고려청자 4547점이 발굴됐다.
또 2020∼2022년에는 군산 고군산군도에서 고려청자와 자기류, 석재류 등 570점이 발굴됐다. 2020년 고군산군도 해역에서 수중문화재 발견 신고를 접수한 뒤 조사를 통해 고선박 난파 당시 유실된 것으로 추정되는 목제, 닻, 노 등 유물 등을 확인한 것이다.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는 이러한 2020∼2022년 수중문화재 발굴 성과를 바탕으로 올해 4월부터 10월까지 고군산군도 선유도 동쪽 해역의 고선박 등 유물 집중 매장처 유존 여부를 확인하는 발굴조사를 진행할 예정이다.
고군산군도 해역은 선유도·무녀도·신시도 등 16개의 유인도와 47개의 무인도로 이뤄진 곳으로 1872년 제작된 '고군산진지도’에서 확인되듯 국제 무역항로의 기항지였다. 특히 선유도는 송나라 사신 서긍이 편찬한 여행보고서 '선화봉사고려도경'에서 고려로 오는 사신을 대접하던 군산정(객관)이 있었던 곳으로 언급되고 있다.
2002년부터 2022년까지 군산 앞바다에서 발굴된 유물은 현재 목포에 있는 국립해양유물전시관에서 보존 처리해 보관하고 있다. 고군산군도를 중심으로 학술적 가치와 역사적 의미가 큰 유물들이 나오고 있지만, 군산에는 수중문화재를 발굴하고 연구할 기관과 인력이 없기 때문이다.
이와 관련 전북도와 문화재청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는 군산 비응도에 국립수중고고학 교육훈련센터를 짓기로 하고 관련 예타 대상사업 신청을 준비하고 있다. 2024∼2028년 총 1111억 원을 투입해 건립할 센터는 수중문화재 조사·연구 전문인력을 양성하는 훈련장과 보존센터, 전시관 등으로 구성돼 있다.
전북도 관계자는 "문화재청과 협의해 빠르면 다음 달 기획재정부에 예타 대상사업으로 신청할 계획"이라며 "국립수중고고학 교육훈련센터 건립으로 수중문화재 전문인력을 체계적으로 양성해 수중유물의 보고인 군산 해역을 보존·관리해 나가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