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5 전주을 국회의원 재선거에서 승리한 진보당 강성희 의원(전주을)의 상임위 배정에 귀추가 주목되고 있다.
여의도 정가에서는 진보당의 원내진출에 당황스러운 기색이 역력한 만큼 강 의원이 소속될 상임위에 대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비교섭단체 의원의 상임위 배치는 김진표 의장이 최종 결정권을 가지고 있다.
통상적인 관례대로라면 국회 상임위 가운데 유일한 결원이 있는 국회 국방위원회가 유력하다. 그러나 정치권 내부에서 ‘진보당이 2014년 헌법재판소의 위헌 결정으로 해체된 통합진보당의 후신’이라는 주장이 나오면서 국방위 대신 다른 상임위로 배치될 것이란 관측이 우세해지고 있다.
진보당 측은 "진보정당으로서 민주노동당, 통합진보당의 가치와 정신을 일부 계승하고 있는 것은 맞다”면서“(진보당이 해체한 통진당의)후신이란 표현은 맞지 않다”는 입장을 밝혔다. 창당 당시 당원이 4만5000명이었는데 80% 이상이 새로 가입한 사람들이었고 지금은 9만5000명인데 당원 대다수가 진보당이 첫 정당인 사람들이라는 주장이다.
진보당은 상임위 논란이 불거지자 공식 입장을 냈다. “민생과 전주 발전과 관련된 상임위면 어떤 곳이든 최선을 다하겠다”는 것이다.
그러면서도 국방위에 강 의원을 배정하는 게 적절치 않다는 보도에는 유감스러운 감정을 드러냈다. 전형적인 색깔론이자 특정 상임위에 누구는 되고, 누구는 안 된다는 생각은 전주시민이 선택한 국민의 대표이자 헌법기관인 국회의원의 지위와 역할을 부정하는 반헌법적, 반의회주의적 발상이라는 논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