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만금 농생명용지에 저환각성 대마인 헴프(Hemp) 재배단지를 조성해 의약품 관련 개발과 기업을 유치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전북도의회 나인권 의원(김제1)은 19일 제399회 임시회에서 5분발언을 통해 새만금 헴프 클러스터 조성을 제시했다.
나 의원에 따르면 전 세계적으로 헴프에 대한 규제완화와 함께 바이오산업이 크게 성장하는 추세로 미국과 캐나다, 유럽 등에서 난치병 치료제나 화장품 등 다양한 용도로 개발되면서 헴프가 고부가가치 신산업으로 급부상했다.
국내에서도 지난 2019년 마약류관리법이 개정되면서 의료용 헴프가 필요한 환자에게 처방할 수 있는 길이 열렸는데 뒤늦게나마 국제적 흐름에 맞춰 환자에게 치료 수단을 선택할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 현재 우리나라는 국내 생산 의료용 헴프가 전무해 미국이나 캐나다 등지에서 전량 수입에 의존하는 상황이다.
나 의원은 “전북도는 앞서 500억 규모의 새만금 헴프클러스터를 바이오융합산업진흥원과 함께 국책사업으로 발굴, 조성하겠다는 계획을 밝혔다”며 “그러나 현재까지 말뿐일 뿐, 예산확보나 사업화 추진을 위한 노력을 하고 있지 않다”고 지적했다.
이어 “0.3% 이하의 저환각성 대마인 헴프를 새만금 농생명용지에 재배단지를 조성하는 헴프 클러스터를 통해 의약품 등의 제품을 개발하고, 관련 기업도 유치해야 한다”면서 “농생명산업에 절호의 기회가 될 새만금 헴프 클러스트를 서랍 속 페이퍼로만 방치하지 말고 당장이라도 팔을 걷어붙여 국책사업화 해야 한다”고 촉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