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주·전주통합 청장년위원회 활동 기대 크다

완주와 전주의 청장년들이 완주·전주통합에 힘을 보태고 나섰다. '완주·전주통합 청장년추진위원회'가 발기인대회를 갖고 본격적인 활동에 들어간 것이다. 그렇지 않아도 통합 논의가 멈칫거리고 있어 우려되던 차여서 반갑다. 그동안 활동해온 노년과 장년 중심의 완주전주통합추진연합회에 이들 청장년들이 힘을 더하면 지지부진하던 통합에도 탄력이 붙을 것이다. 전북도와 전주시 완주군도 대승적 차원에서 통합에 더 적극적으로 나서길 기대한다.

이들 청장년위원회는 완주주민 28명과 전주주민 58명이 회원으로 참여하며 3040세대가 중심을 이루고 있다. 대부분 자영업자와 회사원 등으로, 여기에 뜻을 같이하는 지방의원, 교수 등도 멘토단으로 활동할 것이라고 한다. 이들은 “지역소멸 위기에 대응하고, 행정구역과 생활구역 간 불일치에 따른 주민불편을 없애기 위해 완주·전주 통합을 추진하게 됐다”며 “두 지역에 산재한 자원 등을 연계함으로써 도시 경쟁력을 높이고 외연을 넓혀 나가겠다”고 밝혔다. 

전북은 지금 광역시도 특례시도 없어 사면초가인 상태다. 다행히 전북특별자치도법이 국회를 통과했지만 ‘대도시권 광역교통 관리에 관한 특별법’에서 제외되는 등 아직은 산 너머 산이다. 일자리가 없어 해마다 1만명 가까운 청년들이 타 지역으로 빠져나가는 게 현실이다. 이런 상태에서 완주전주 통합은 전북이 생존할 수 있는 첫걸음이다. 

하지만 최근 우려스런 현상들이 나타나고 있다. 전주시가 현 시청사 바로 옆에 제2청사 건립계획을 발표하고 완주군은 독자적으로 시 승격을 추진하고 있어서다. 전주시의 제2청사 추진은 완주군 부지에 통합청사를 짓겠다는 우범기 전주시장의 당초 약속을 파기하는 것으로 비칠수 있다. 또 유희태 군수가 김관영 지사에게 ‘전북특별자치도법 특례규정에 완주시 승격을 명시해 줄 것’을 요청한 것은 완주군이 통합 의사가 없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이처럼 완주전주 통합이 식어가는 상황에서 청장년위원회의 구성은 다시 통합에 가속도를 붙이는 백만원군이나 다름없다. 특히 젊은이들이 지역의 문제에 목소리를 내는 것은 바람직한 일이다. 완주전주 통합은 관(官)에만 맡겨둘 일이 아니다. 그동안 세 차례의 실패가 그것을 증명한다. 노장청 모두가 나서 통합에 대한 의견을 모으고 지역발전을 견인했으면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