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작품을 감상하는데 작품 내적인 논리로 접근하는 경우가 있다. 반면 재현된 세계에 초점을 둔 모방론이나 작가의 사상‧감정에 작용하는 상상력의 산물로 정의하는 표현론적 관점이 작품 분석의 근거가 되기도 한다. 경험적 자아와 시적 자아를 일치시키는 표현론적 관점은 ‘의식의 지향성’이라는 개념으로 시를 ‘의도’의 산물로 본다.
김유섭 시인은 자신의 비평집 『한국 현대시 해석』에서 ‘시인의 시대 인식과 세계관의 흐름’이라는 부제를 통해 모방론과 표현론을 비평 근거로 삼았다. 물론 “현대시 100년의 오독에서 해방되기를 바라”는 열망에서 작품의 복잡성과 구체성, 심미적 측면을 간과하지 않는다. 선생은 용감하고 단단하다. 한국인이 사랑하는 백석에서부터 김소월‧한용운‧이상‧김수영에 대한 위험한(새로운) 시각이 저항에 부딪힐 게 뻔한데도 강력한 논조로 물러서지 않는다. 필자 또한 시에 ‘논리적 분석을 가하는 것’과 ‘이데올로기적 의식표방’에 대해 부정적이다. 거꾸로 미학적으로 잘 구조화된 시, 서정성과 조화를 이룬 작품에서 ‘시대정신을 읽어내’는 각고의 노력에 찬사를 보내고 싶다. 최근 3‧1절 기념사나 ‘일본 강제 동원 배상안’에서 극우 인사들의 망언이 잇따르고 일본 정부에 굴종‧굴신으로 치욕스러운 작금 김유섭의 시각은 문학 범위를 넘어 귀하다. 김소월의 「진달래꽃」은 친일파를 조롱 경고하는 시며 한용운의 「님의 침묵」에서 임은 고종이며 백석의 「나와 나타샤와 흰 당나귀」는 일본 식민지배를 한탄, 민족애를 나타내는 시며 이상의 「오감도」는 항일 1인 전쟁의 시로서 저항과 투쟁의 세계관이라고 본다. 또 김수영의 「풀」에서 ‘바람’은 3선 개헌이고 ‘풀’은 민주주의다. 지면상 낱낱의 논거를 인용할 수 없지만 이들 공통점은 비판적 태도의 맥락에서 당대 정치 현실에 대한 투쟁정신의 의지표명인 것이다. 시의 존재 양식은 자의식의 결정체다. 주체 중심의 상징체계는 ‘외부’와 만나는 욕망을 발하는 순간 전복되고 재창조된다. 즉 예민한 자의식에서 출발, 시대 의식과 상황맥락 앞에서 문학의 복수성複數性을 실현하는 것이다. 김유섭 시인은 작품 속에서 불길한 이미지와 좌표를 잃은 식민지 징후들을 선지자처럼 읽어낸다. 텍스트에 대한 ‘내면화’ ‘개인화’가 기존 해석이었다면 선생의 백석에 대한 해석은 일제 폭압에 굴복하지 않고 패배한 자의 소극적 저항인 ‘도피’를 선택했다고 본다. 또 김소월 최고의 ‘이별미학’으로 평가받은 <진달래꽃>은 “간다는 대상을 호명조차 하지 않”고 있으며 “사랑하는 사람과의 이별을 드러내는 명확한 진술이 없다”는 점을 근거로 ‘남녀이별의 정한’이라는 기존 인식을 부인한다. “유교적 국가관의 강렬하고도 애끓는 민족애로 현실을 거부하”려는 해석이다. 즉 인식론적 사회사적 의미망 구축 과정을 섬세하게 밝히고 있다. 인유引喩 없이 오롯이 자신만의 연구로 이루어낸 쾌거가 경이로운 한편 필자는 의구심을 품기도 한다. 이들의 시적 출발이 포괄적이고 심미적인 가치를 등한시하진 않았을 터 아름다움을 지향하고 감동의 떨림을 추구하는 수용자 입장에서는 김유섭 시인의 주장 또한 한정적이라 평가할 수도 있겠다. 다른 측면에서 이 비평집은 김유섭 시인의 ‘역사를 직시하겠다는 의지’로 보인다. 가혹한 현실에 대한 투쟁의식, 남북분단 기형, 서구열강 침입과 일제에 의한 경제‧문화적 식민지화, 한국 정통성 상실과 같은 역사 현실의 연장선상에서 역사적 특수성을 지우고 세워진 시의 집을 용납하기 어려웠을 것이다. 김유섭 시인은 일갈한다. “이 상이나 김수영의 작품이 ‘난해시’가 아니라 해석할 능력이 없는 것은 아닌지 그것을 성찰하는 것이 한국 현대시가 미래로 가는 첫걸음”이라고.
문학의 이념성을 거부하는 순수시 측면에서 김유섭 시인의 새로운 해석은 차별과 대립이 아닌 새롭고 풍요로운 텍스트라고 봐야 할 것이다. 상황적 현실에 따른 개인의 고통을 보편정서로 확대, 현실극복 의지로 통합하려는 저자의 노고에 대해 지금은 치하할 때다.
기명숙 시인은
전남 목포 출신이며, 2006년 전북일보 신춘문예로 등단했다. 시집으로는 <몸 밖의 안부를 묻다>가 있다. 현재 강의와 집필에 몰두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