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지역 실물경제 변화 미미 "아직 회복세 아냐"

물가 상승세 둔화 등 경제 회복 기대감 무색
여전히 회복세로 보기는 어려워...생산만 양호
"일부 회복됐을 뿐, 회복세에 접어든 것은 아냐"

한국은행 전북본부 전경

전북지역 실물경제가 물가 상승세 둔화 등 경기 회복에 대한 기대감이 무색하게 여전히 회복세에 접어들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13일 한국은행 전북본부가 발표한 '최근 전북지역 실물경제 동향'에 따르면 2월 중 전북지역 제조업 생산은 전자부품, 펄프·종이, 식료품 등을 중심으로 전년 동월 대비 0.2% 감소했다. 재고는 두 달 연속 30% 이상 증가한 것으로 확인됐다.

2월 중 대형 소매점 판매는 전년 동월 대비 6.4% 감소했지만, 출고 지연 등으로 승용차 신규 등록 대수는 43.7% 증가했다. 건축착공면적은 전년 동월 대비 17.6% 증가하고 건축허가면적은 33.0%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수출은 6억 4000만 달러, 수입은 4억 6000만 달러를 기록하는 등 각각 전년 동월 대비 5.5%, 13.6% 줄었다. 무역수지는 1억 9000만 달러 흑자를 기록했다.

한국은행 전북본부 관계자는 "전국에 비해 생산은 양호한 편이다. 제조업 생산 감소 폭이 줄고 건축착공면적이 증가해 회복세에 접어들었다고 볼 수는 있지만 일부만 회복된 것으로 보인다. 건축착공면적·승용차 신규 등록 대수 증가 등은 특이 요인일뿐 전북지역 경제가 회복세에 접어들었다고 보기는 어렵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