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투어패스 개선하되 정책은 지속돼야

전북도가 역점적으로 추진해 온 '전북투어패스'가 판매실적 부풀리기는 물론, 전반적인 운영이 부실한 것으로 드러남에 따라 정확하고도 투명한 운영시스템을 갖추는 게 매우 중요한 과제로 떠올랐다. 지난해 9월 전북도의회 진형석 의원(전주2)은 정례회에서 긴급 현안질문을 통해 전북투어패스가 회계 관련 법령 위반, 수탁업체에 대한 지도·감독 부실 등의 문제점을 안고 있다고 지적했다. 진 의원은 "투어패스는 2017년부터 2022년 6월까지 누적판매액이 32억여원으로, 지출금을 제외하면 약 10억원의 누적 수익을 올렸으나 관광산업 발전에 쓰여야 할 수익금이 수탁업체 명의 통장에 방치돼 있다"고 지적한 바 있다. 결과적으로 회계원칙이 지켜지지 않음으로써 지난 5년 동안 전북도는 약 27억원의 세외수입 결손을 입었다고 한다. 심각한 것은 투어패스의 판매실적 부풀리기였다. 전북도와 일선 시·군이 독려하면서 유관기관, 기업 등이 구매에 적극 나섬으로써 판매액이 늘어난 것 처럼 착시효과가 있었으나 이런 부분이 무려 누적 수익금의 40%에 달했다. 결국 진 의원은 김관영 지사에게 지도나 감독 부실 등 진상 규명을 위한 특별감사를 촉구한 바 있다. 전북도의 감사 결과, 진 의원의 지적은 대부분 사실로 드러났다. 전북 관광 활성화라는 대명제는 좋았으나 “악마는 디테일에 있다”는 말처럼 운영과정에서 판매 수입금과 가맹점, 통합시스템 등이 소홀하게 운영·관리되는 등 전북투어패스의 총체적 부실이 사실로 밝혀졌다. 전북도 감사관실은 '전북투어패스 운영 특정감사'를 통해 △판매 수입금 반환 등 부적정 △가맹점 관리·정산 부적정 △ 위탁사업비 예산 편성 등 부적정 △통합시스템 최초 개발 부적정 △통합시스템 유지·보수 위탁 부적정 △통합시스템 재개발 부적정 △통합시스템 임차계약 부적정 △통합시스템 자료·보안관리 부적정 △구입·배부·관리 소홀 △상품권 구매·관리 지침 제정 업무 소홀 등 모두 9건 문제를 적발했다. 관련 공무원 11명에게 주의 등 경징계와 훈계 처분을 내리고, 약 6000만 원을 환수 조치하는 것으로 마무리했다. 사실 액수로 보면 그렇게 크지 않은 것 같아도 시민의 세금은 단 한푼도 불투명하게 집행돼선 안된다는 점에서 경종을 울리는 사례다. 다만 일부 문제점이 드러나긴 했으나 전부관광활성화라는 큰 명제에서 시작된 만큼 잘못은 고치되 정책은 흔들림없이 추진돼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