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산 수송동(미장‧지곡동) 인구가 5만 명을 넘어 6만 명 시대를 바라보면서 행정·복지 수요 증가에 적극 대비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특히 불어난 몸집으로 인해 민원이 꾸준히 발생하고 있는 만큼 수송동을 분할해야 한다는 여론도 나오고 있다.
20일 군산시 등에 따르면 올 3월말 기준 수송동 인구는 5만 3800명(2만 1184세대)으로, 이는 전체 인구 26만 1601명의 20%를 차지하고 있다.
2000년 초, 1만 명대에 불과하던 수송동은 급격한 인구 증가로 인해 지금은 거대 동(洞)으로 발전했다.
이 같은 원인은 지난 2007년 준공된 수송택지개발과 함께 대규모 아파트 및 상가·대형마트 등이 들어서면서 인구‧세대가 늘어나는데 결정적 역할을 했다.
현재 수송·미장·지곡동에 신규 공동주택 6개 단지(3489세대)가 사업 승인이 완료됨에 따라 앞으로 1만 명 정도가 더 증가할 것이라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따라서 이에 대비한 선제적 행정대응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는 상황.
실제 수송동과 미장동·지곡동을 관할하고 있는 수송동주민센터에서 근무하는 공무원은 총 20명으로, 직원 1인당 2339명의 주민을 담당해야 하는 과다한 업무에 시달리고 있다.
군산시 평균 공무원 1인당 주민수가 160명 정도인 점을 감안하면 10배가 넘는 수치이다.
더욱이 아파트 전입신고 때나 연말 등이 되면 보통 1∼2시간 정도를 민원인이 대기해야 하는 등 신속한 업무 처리에도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
이 때문에 주민들의 성토도 끊임없이 이어지고 있다.
수송동 주민 김모 씨(43)는 “인구대비 행정력이 부족하다보니 일처리도 늦어질 수밖에 없다”면서 “수송동 지역의 원할한 행정서비스를 위해서는 장기적 차원에서 분동 등 대책들이 세워져야 한다”고 말했다.
군산시의회 윤신애 의원은 20일 열린 제255회 군산시의회 제1차 정례회 5분 발언에서 “올해로 창립 50주년을 맞은 수송동은 행정·복지·의료·교육·금융·문화예술의 중심지로 거듭 발전해 가고 있지만 문제는 적은 인력으로 주민센터가 운영되다보니 행정서비스가 포화상태에 있다는 점"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앞으로 신규 아파트 건설에 따라 행정 및 복지 수요는 폭발적으로 증가할 것이 명명백백한데, 인력 재배치 등 군산시의 개선 의지나 대책은 미흡하다”고 꼬집었다.
그러면서 윤 의원은 “주민들이 편안하고 행복한 삶을 살아갈 수 있도록 주민의 편리성을 보장하기 위한 수송동 동 분할을 더 이상 늦출 수는 없다”면서 “서둘러 동 분할에 대한 실태조사와 주민공청회 및 추진계획이 수립돼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