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퍼는 '봉'이 아니다

우리나라에서도 골프는 이제 ‘귀족 스포츠’가 아니다. 운동으로 골프를 즐기는 사람이 크게 늘면서 전국 곳곳에 골프장이 속속 조성됐다. 생활 속에서 부담 없이 찾을 수 있는 대중제(퍼블릭) 골프장도 급격히 늘었다. 정부에서도 골프를 대중친화적 스포츠로 정착시키겠다는 정책적 의지를 보였다. 지난해에는 ‘골프장 이용 합리화 및 골프산업 혁신 방안’을 내놓으면서 골프장 이용 가격을 합리화하겠다고 밝혔다. ‘골프 대중화’가 구호나 막연한 기대가 아닌 현실이 되는 듯 했다.

하지만 모두가 기대한 골프 대중화로 가는 길은 필드에서 가로막혔다. 골프장의 폭리·배짱 영업 때문이다. 골프장의 서비스나 운동 환경은 개선되지 않고 있는데도, 그린피와 캐디피, 카트비, 식음료비 등 골프장 이용료가 천정부지로 오르고 있다. 국내 골프장들은 지난 3년간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유례없는 호황을 누렸다. 넘쳐나는 이용객들로 즐거운 비명을 지르며 너도나도 그린피와 캐디피, 카트비 등 골프장에서 발생하는 모든 비용을 올렸다. 그리고 골프장 이용료 인상 러시는 현재까지도 중단없이 계속되고 있다. 게다가 클럽하우스에서 판매하는 음식값도 시중에 비해 터무니없이 비싸다. 해도 해도 너무할 정도다. 

코로나19 확산으로 온 국민이 고통받던 시기, 오히려 호황을 누린 골프장들이 최근에는 물가 상승 분위기에 슬쩍 편승해 폭리를 취하고 있다. 골프 대중화 차원에서 세금감면 혜택을 받고 있는 퍼블릭골프장도 합리적 가격과는 거리가 멀다. 당연히 이용객들의 불만이 쏟아지고 있다. 하지만 골프장은 여전히 배짱이다. 이 같은 골프장의 폭리 논란은 사실 어제오늘의 일이 아니다. 그런데도 전혀 달라지는 게 없다. 오히려 갑의 횡포는 갈수록 심해진다.

골프가 과거처럼 일부 부유층의 전유물로 여겨졌던 때라면 몰라도 이제는 우리나라도 눈앞에 보이는 골프 대중화로 가는 길이다. 국세청과 공정거래위원회·지자체 등 관계 당국의 철저한 조사와 관리·감독이 필요하다. 특히 골프를 대중친화적 스포츠로 정착시키겠다고 밝힌 정부가 적극적으로 나서 터무니없는 가격 인상을 근본적으로 막을 수 있는 제도적 장치를 마련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