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가 글로컬대학 추진방안을 확정하고 공모절차에 돌입했다. 이에 대응해 김관영 전북도지사와 도내 12개 대학 총장들이 모여 ‘글로컬대학 성공을 위한 소통 간담회’를 가졌다. 새 정부가 추진하는 글로컬대학은 비판의 목소리도 없지 않으나 단순히 대학 차원을 넘어 지역의 미래가 걸린 만큼 총력을 다했으면 한다. 6월중 1단계 예비지정과 9월말 2단계 본지정에 도내 대학이 반드시 선정되는 성과를 거둬야 한다. 그러기 위해선 치밀한 전략과 전북도, 대학, 기업체간의 협력이 필수적이다.
교육부는 학령인구 감소와 산업구조의 변화에 대응해 지역대학 교육체계 개혁의 일환으로 ‘글로컬대학 30’ 방안을 제시한 바 있다. 세계적인 경쟁력을 갖춘 비수도권 대학을 육성하고 이를 통해 침체된 지역의 발전까지 꾀하겠다는 게 목적이다. 2026년까지 총 30곳을 지정해 학교당 5년간 1000억 원을 지원할 예정이다. 올해 10곳, 내년 10곳, 2025년과 2026년 각 5곳을 선정키로 했다.
우선 도내 대학들은 1.5배수인 15개 대학을 선정하는 1단계를 통과해야 한다. 1단계는 대학의 비전과 혁신과제를 제시한 최대 5쪽 분량의 기획서를 제출해야 한다. 평가기준은 혁신성 60점, 성과관리 20점, 지역적 특성 20점이다. 혁신성에는 기존 대학 운영의 틀을 넘는 과감한 혁신적 방안과 대학 안팎, 학과 및 교수 등의 내부 경계를 허무는 시도가 담겨야 한다. 2단계는 대학과 지자체, 지역산업체가 공동으로 구체적인 실행계획을 수립해야 한다. 평가기준은 대학 실행계획이 70점, 지자체의 지원 및 투자계획이 30점이다.
교육부는 대학과 연구기관 간 통합 등 해외 12개 사례를 예시하면서 대학이 파격적인 변신으로 기존의 틀 자체를 깰 것을 요구하고 있다. 이와 관련, 일부에서는 글로컬대학이라는 이름으로 지방대 구조조정을 지역의 당사자에게 넘긴다는 볼멘소리도 없지 않다. 돈을 미끼로 지방대 구조조정을 가속화하고 대학 줄세우기를 더욱 촉발시킨다는 것이다.
그러나 그런 비판에도 불구하고 지방으로서는 글로컬대학 선정에 최선을 다할 수밖에 없다. 이번 선정이 지역인재 육성은 물론 지역경제 활성화와도 맞물려 있기 때문이다. 대학의 생존과 지역의 활로를 찾기 위해 지역의 모든 역량을 모았으면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