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지역 국회의원들이 글로컬대학 공모 대응에 힘을 보탠다. 이로써 글로컬대학 선정을 위한 전북도-국회의원-대학 총장의 '삼각 협력 체계'가 갖춰졌다.
전북도는 3일 서울 여의도 켄싱턴호텔에서 도내 국회의원, 대학 총장과 글로컬대학 육성 간담회를 열고 대학 생존, 지역 발전과 연관된 글로컬대학 공모 대응 방안을 모색했다.
글로컬대학은 세계적인 경쟁력을 갖춘 비수도권 대학을 육성하고, 이를 통해 침체된 지역의 발전까지 꾀하기 위해 정부가 추진 중인 주요 교육개혁 과제다. 2026년까지 총 30곳을 지정해 학교당 5년간 1000억 원을 지원한다. 올해 10곳, 내년 10곳, 2025년과 2026년 각각 5곳을 선정한다.
이에 대해 비수도권 대학은 사실상의 '구조조정 신호탄'이라고 받아들이며 대학 내 전담팀을 구성하는 등 본격적인 준비에 나섰다.
이날 간담회에서 전북도는 도내 국회의원을 대상으로 교육부의 글로컬대학 선정 계획을 안내하고, 국회 차원의 글로컬대학 공모 대응을 요청했다.
김관영 전북도지사는 "글로컬대학은 그 자체가 목적이 아닌 대학과 지역의 생존을 위한 혁신 전략을 마련하는 계기가 돼야 한다"며 "도내 대학이 세계적인 혁신 사례를 선제적으로 접목하고 이를 실천하기 위해서는 재정 마련 등 국회 차원의 도움이 절실하다"고 말했다.
이어 김 지사는 "글로컬대학으로 도내 대학 간 반목이 생기는 것을 경계한다"며 "특정 대학만의 생존이 아닌 대학과 대학이 함께 성장할 수 있는 방안을 고민하고, 이를 글로컬대학과 연계할 수 있도록 정치권과 지속적으로 소통하겠다"고 강조했다.
도내 국회의원들 역시 글로컬대학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국회 차원에서 글로컬대학 선정을 뒷받침할 만한 사항들을 찾아 적극 지원하겠다"고 약속했다.
한편 김 지사는 지난달 28일 도내 12개 대학 총장들과 '글로컬대학 성공을 위한 소통 간담회'를 열고 "도내 대학이 예비지정 15개 대학에 포함되면 글로컬대학에 최종 선정될 수 있도록 전폭 지원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