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림푸드와 ㈜하림산업을 주축으로 한 '익산형 일자리'가 정부 지방주도형 투자·일자리 사업에 선정됐다.
익산형 일자리는 농민이 참여하는 전국 유일 농식품 상생모델로 하림이 2026년까지 총 3915억 원을 투자해 일자리를 창출하는 것이 골자다. 일각에서는 국비와 지방비 등 3000억 원이 넘는 대규모 재정을 투입해, 대기업의 사업 확장을 돕는다는 시선도 뒤따른다. 익산형 일자리가 이러한 우려를 불식시키기 위해선 민간투자와 지역 농산물 확대 등 하림의 책임감 있는 상생 노력이 이어져야 한다는 의견이 나온다.
이와 관련 김홍국 하림그룹 회장은 10일 익산형 일자리 선정 기자회견에서 "하림 아닌 어떤 기업이 참여해도 법률에 따라 동일한 지원이 이뤄진다"며 "하림에서도 큰마음을 먹고 협력해 지원하는 것이지, 혜택을 받아서 하는 것은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이날 제8차 지방주도형 투자일자리 심의위원회를 열고 익산형 일자리를 지방주도형 투자·일자리 사업으로 선정했다.
지방주도형 투자·일자리(구 상생형 일자리)는 지역 투자와 일자리 창출을 위해 자치단체, 기업, 근로자, 주민 간 합의를 기반으로 이뤄지는 사업을 말한다. 전북에서는 2021년 2월 군산형 일자리가 선정된 바 있다.
익산형 일자리 선정에 따라 하림푸드는 국가식품클러스터에 2688억 원을 투자해 식품공장을 신설한다. 하림산업은 제4산업단지에 공동물류센터를 신설하고 즉석밥 생산라인을 증설하기 위해 각각 977억 원, 250억 원을 투입한다. 이를 통해 345명을 신규 고용하고, 300명을 간접 고용(물류센터 위탁 운영)하는 등 총 645명의 지역 일자리를 창출할 계획이다. 그리고 간접 고용 300명은 2026년 하반기부터 직접 고용으로 전환한다는 방침이다.
하림은 지역 농가, 국가식품클러스터 입주 식품기업 20곳과의 상생을 위해 농산물의 가격과 물량을 사전에 계약해 생산하는 '농산물 다년 계약재배' 방식을 도입하기로 했다. 계약재배 단가는 익산시와 지역 농가, 식품기업들이 협의해 결정한다. 계약재배 단가와 시장 가격의 차이가 10% 이상 발생할 때는 10%를 초과하는 금액을 익산시가 부담한다. 이를 통해 장기적으로는 식품기업들의 익산 농산물 사용 비중을 2022년 20%에서 2027년 50%까지 확대해 나간다는 구상이다.
또 하림은 익산형 일자리에 참여하는 국가식품클러스터 입주 식품기업과 공동으로 물류, 마케팅, 구매, 연구개발, 인력 양성 등을 추진한다.
이와 함께 하림은 근로자와의 상생을 위해 연장근로 지양, 휴일근무 최소화, 보상휴가 등 근로 조건을 개선하기로 약속했다. 근로자는 기업의 품질, 생산성 향상 교육에 적극 참여하기로 했다.
김관영 전북도지사는 "전북이 전국에서 유일하게 2개의 정부형 일자리를 추진하는 지역이 됐다"며 "농가와 기업의 동반 성장, 고용 창출, 농식품산업 도약을 가져올 익산형 일자리 성공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정헌율 익산시장은 "4년간 준비해 온 대형 일자리 프로젝트가 선정되는 쾌거를 이뤘다"며 "기업의 대규모 투자를 적기에 이뤄내는 것은 물론 고용 과정에서 발생할 리스크를 선제적으로 관리해 빠른 시일 내 일자리 창출이 가능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김홍국 하림그룹 회장은 "익산형 일자리를 통한 익산 추가 투자로 대한민국 농식품산업의 경쟁력을 높여 나가겠다"며 "참여기업으로서의 역할과 지속가능한 지역 발전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