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상 조건 악화⋯전북 초미세먼지 농도 10% 짙어졌다

환경부, 미세먼지 계절관리제 분석 결과⋯국외 유입 등 영향
전북 22년 3월 24.8㎍/㎥, 23년 3월 27.4㎍/㎥로 2.6㎍/㎥ 상승

미세먼지를 줄이기 위해 계절관리제를 시행하고 있지만 기상 조건 악화와 국외 초미세먼지 농도 상승 등으로 전북 초미세먼지 농도가 10% 짙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22일 환경부에 따르면 4차 계절관리제 기간(2022년 12월∼2023년 3월) 전북 초미세먼지 평균 농도(황사 제외)는 27.4㎍/㎥로 3차 계절관리제(2021년 12월∼2022년 3월) 평균 농도 24.8㎍/㎥보다 2.6㎍/㎥(10%) 높았다.

같은 기간 전국 초미세먼지 평균 농도도 24.6㎍/㎥에서 23.2㎍/㎥로 1.4㎍/㎥(6%) 상승했다. 특히 2월과 3월 농도가 각각 28.1㎍/㎥, 27.1㎍/㎥로 전년 동월 대비 20∼23% 증가했다.

지역별로는 충북이 29.0㎍/㎥로 가장 높았다. 이어 경기 28.4㎍/㎥, 충남·세종 27.4㎍/㎥, 전북 27.4㎍/㎥, 인천 27.2㎍/㎥ 등의 순이었다.

미세먼지 계절관리제는 미세먼지 고농도 시기인 12월부터 이듬해 3월까지 5등급 차량 운행을 제한하고 석탄발전소 가동을 단축하는 등 평상시보다 강화된 미세먼지 저감·관리 대책을 시행하는 제도다. 코로나19 상황을 고려해 중단했던 행정·공공기관 차량 2부제도 감염병 위기 경보 하향에 따라 5차 계절관리제부터 재개할 예정이다.

이번 계절관리제로 감축한 대기오염물질은 11만 9894톤으로 전년(11만 7410톤)보다 2.1% 늘면서 초미세먼지 평균 농도를 낮추는 데 기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평균 기온 증가, 풍속 감소 등 기상 조건 악화로 초미세먼지 평균 농도가 올랐다는 게 환경부의 분석이다. 또 중국 초미세먼지 평균 농도가 43㎍/㎥에서 46㎍/㎥로 높아지는 등 국외 초미세먼지 농도가 상승한 것도 원인으로 지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