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산, 폭발·화학사고 안전지대 아니다

매년 관련 사고 잇따라 발생⋯주민들 불안 호소
노후 공장설비·부실한 안전 대책·부주의 등 원인
업체 책임성 강화 및 관계기관 철저한 대책 시급

지난 18일 새만금산단에 들어선 한 군산공장에서 시험 가동 과정 중 화학 물질이 유출됐다./사진제공=군산소방서

군산지역에서 폭발 및 가스 누출 사고가 잇따라 발생하면서 산단 근로자와 시민들의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

특히 최근 새만금 산업단지를 중심으로 이차전지 기업들의 투자가 잇따르고 있는 가운데 먼저 안전대책이 선행돼야 한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그동안 군산에서 발생한 크고 작은 사고의 대부분이 관리 소홀 및 안전 불감증에서 비롯됐다는 점을 감안할 때, 앞으로도 언제 어디서 대형 참사가 일어날지 모르기 때문이다.

군산시 등에 따르면 현재 지역 내 등록된 업체 수는 1200여 곳으로, 이 중 화학물질 취급업체는 97곳, 위험물 취급업체는 300곳이 넘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해마다 폭발 및 가스 누출사고가 끊이지 않고 있는 상황에서 근로자와 인근 주민들은 “군산도 더 이상 안전지대가 아니다”며 우려를 나타내고 있다.

지난 18일 새만금 산단 모 이차전지 제조공장에서 염소가스 누출사고가 발생해 직원들이 긴급 대피하는 소동이 빚어졌다.

이에 앞선 지난달에는 군산시 오식도동 소재 A공장에서 폭발사고가 발생해 근로자가 중상을 입고 병원 치료를 받았다.

산업현장에서 매일같이 안전을 외치고 있지만 되풀이되는 폭발 및 가스 누출 사고 등을 막진 못하고 있는 것.

더욱이 대부분 노후화된 공장설비와 부실한 안전 대책·부주의·낮은 안전의식 등이 사고의 원인으로 꼽히면서 사실상 인재에 해당하고 있다.

실제 군산시 화학물질 관리지도에 나와 있는 화확물질 누출사고를 보면 2017년 B공장 메틸 아크릴레이트 누출사고은 시설관리 미흡, 2021년 C공장 염산 누출은 작업자 부주의, 2021년 E공장 페놀 누출 사고는 시설결함이 원인이었다.

대부분의 업체들이 사고가 나면 그제 서야 부랴부랴 특별 안전점검에 나서거나 한 두 차례 진행되는 의무교육이 전부여서 여전히 사고에 대해 안일하게 대처하고 있다는 게 산단 관계자의 설명이다.

이와 함께 지역에 화학 및 위험물질을 취급하는 업체가 상당수임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종합적인 관리는 물론 사고 발생 시 초기 대응할 수 있는 관련 장비도 미흡한 실정이다.

지난 5월부터 군산소방서 화학119구조대가 본격 운영되고 있지만 고체나 액체 화학물질 탐지 장비는 보유한 반면 기체 물질은 탐지가 어려워 대응에 한계를 보이고 있으며 (장비를 갖춘)익산화학재난합동방재센터 역시 원거리에 위치해 있다 보니 초기 대응에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환경단체 측은 “(군산에)이차전지 관련 사업장들이 늘어나는 것은 반가운 일이지만 다른 의미로는 화학물질 취급 공장이 늘어나 그 만큼 사고발생위험도 높아지는 것을 말한다”며 “기업들의 사고예방관리조치와 책임성을 강화하는 동시에 관계기관에서 철저한 대책을 수립해 시민의 안전을 확보해야 한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