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대통령 "공정한 보상체계와 규제해소 필요"...한국형 보스턴 클러스터 추진

수출전략회의…"첨단산업 클러스터 육성, 국제교류와 협력 필수적"

윤석열 대통령이 5월 31일 청와대 영빈관에서 열린 사회보장 전략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대통령실 제공

윤석열 대통령은 1일 "국가 안보와 첨단산업은 바로 직결되고 있다"며 첨단산업 육성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윤 대통령은 서울 강서구 '서울창업허브 M+'에서 열린 제5차 수출전략회의에서 이같이 언급했다.

윤 대통령은 지난 4월 국빈 방미 당시 방문했던 '보스턴 클러스터'를 들며 "MIT(매사추세츠공과대학)라는 기반만으로 된 것이 아니고, 공정한 시장 질서와 보상 체계가 자리를 잡으면서 공학·의학·법률·금융 분야 최고 인재들이 모이도록 만든 것"이라고 말했다.

보스턴은 글로벌 제약·바이오 기업과 연구소, 매사추세츠 공과대학(MIT)·하버드대학 등 주요 대학과 벤처기업 등이 몰려 있는 바이오 분야 대표 클러스터다.

그러면서 "연구소, 대학, 투자기관을 공간적으로 집합 배치시키는 수준이 아니라 서로 유기적으로 밀접하게 연결하면서 기술 개발과 가치 창출을 이뤄내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방미 당시 미 국방고등연구계획국(DARPA·다르파)을 들렀던 사례도 언급하며 "보스턴 클러스터가 구체적 가치를 창출하는 기술을 개발하는 곳이라면, 다르파는 국가가 어떤 기술에 선도적 투자를 할지를 결정하는 곳"이라고 덧붙였다.

윤 대통령은 첨단산업 클러스터 육성에 국제교류와 협력이 필수적이라면서 "이번에 서울대병원과 카이스트가 MIT랑 협력해 바이오 동맹이 구체화될 수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윤 대통령은 "클러스터의 성공적 작동을 위해 공정한 보상 체계를 법제화하고 불합리한 규제는 과감히 풀면서 시장에 활력을 주는 정책적 노력을 하고, 재정을 잘 골라서 선도적인 투자를 함으로써 민간의 관심과 투자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해주는 것이 정부가 해야 할 일"이라고 강조했다.

정부는 이날 회의에서 혁신 역량이 있는 유망한 곳을 선별해 정부와 지방자치단체의 지원을 집중하는 방식으로 보스턴 바이오 클러스터와 같은 세계적 클러스터로 육성하는 '첨단산업 글로벌 클러스터 육성 방안'을 발표했다.

이에 정부는 바이오, 반도체, 이차전지 등 12대 국가전략기술 관련 산업을 기반으로 하는 혁신 클러스터를 육성하기로 하고, 이를 위한 세제·금융 지원 확대, 규제 완화 방안 등을 제시했다.

또한 지방자치단체는 도시계획 수립 단계에서부터 기업·대학·연구소·상업·주거시설의 집적을 추진하고, 클러스터 입주 유망 기업에 대한 자금 지원 확대 방안을 추진하기로 했다. 클러스터 내 기숙사 공급 확대, 특별공급 기회 확대, 사택 제공 등 젊은 인재를 지방으로 유치하기 위한 정주 여건 개선도 추진된다.

정부는 오송 K-바이오 스퀘어, 대구 K-메디밸리, 송도 바이오의약품 생산 글로벌 허브, 대덕 첨단 R&D 융복합 특구, 판교 테크노벨리, 홍릉 메디클러스터, 부산역 창업 클러스터, 광주역 창업밸리의 조성·확장에 관한 지자체 구상을 관계부처 협의 등을 거쳐 구체화해나간다는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