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위해 희생한 순국선열 더 기려야

제2차 세계대전 이후 독립된 국가중 유일하게 대한민국 단 하나의 국가만 선진국 반열에 올라 있다고 한다. 식민지배에서 벗어났다고 하지만 가난과 무지, 봉건주의적 사고에 찌든 상황에서 제대로 된 자원이나 사회간접자본 하나 없이 오늘날 이만큼 우리가 누리는 평화로운 일상은 한세대, 두세대, 더 멀리는 숱한 선조들의 피와 눈물과 땀의 결정체다. 구태여 현충일인 6일 하루뿐 아니라, 6.25때뿐 아니라, 호국보훈의 달뿐 아니라 언제나 겸허한 마음가짐으로 국가를 위해 헌신한 이들의 깊고 높은 뜻을 기려야 하는 이유다. 

오랫동안 우리 사회에서는 독립운동을 하면 3대가 망하고, 친일을 하면 3대가 흥한다는 말이 횡행했다. 일제의 지배논리에 편승한 말도 안되는 소리지만 현실은 꼭 틀린것만은 아니었다. 부일분자의 후손들은 제대로 교육받고 대대손손 사회에서 지도적 위치를 누려왔던게 엄연한 현실이었다. 그런가하면 독립운동가의 후손은 헐벗고, 못먹고, 못배운 탓에 늘 사회적 약자가 돼 짓밟혀왔다. 이젠 이러한 부조리와 불공정이 많이 사라지고 있고, 한 세대가 가고 또 한세대가 오면서 제대로 된 가치관이 자리잡고 있다. 하지만 아직 갈 길이 멀다. 호국보훈의 달을 맞아 한번 더 생각해보면 국가를 위해 희생당한 이들의 숭고한 뜻을 더 기려야 한다. 정부는 말할 것도 없고 국민 각자가 사회 공동체를 위해 헌신한 이들의 노고에 대해서는 어떤 것보다 높은 가치를 부여하고 응분의 대우를 해줘야 한다. ‘국가가 끝까지 책임지는 일류보훈, 국가와 국민을 위해 희생한 분을 존중하고 기억하는 나라’를 이루느냐 못이루느냐는 그 국가의 가치관을 그대로 투영한다. 국가 차원에서 국가유공자들에 대한 각종 지원이 이뤄지고 있으나 그것만으로는 불충분하다. 지역 공동체에서도 그들의 뜻을 받들고 불편함이 없도록 세심하게 살펴야 한다. 국가유공자나 특히 참전유공자들의 헌신은 한 개인에게 있어서는 인생의 전부를 포기한 희생이다. 소중한 목숨을 잃거나 평생 불구가 되거나, 힘들게 살아나가는 이들의 문제는 그들에게 한정된 문제가 아니다. 대한민국 전 구성원이 돌봐야 한다. 그래야 민족정기가 바로 선다. 그게바로 호국보훈의 달을 맞는 시민의 자세임을 거듭 생각하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