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주군은 군 청사 인접 ‘복합문화지구 누에’를 군정 목표인 ‘국내 행복지수 1위 도시’ 실현의 거점 공간으로 발전시키기로 했다.
군은 지난 5일 복합문화지구 누에아트홀에서 유희태 군수와 주요 간부, 정철우 완주문화재단 상임이사 등 출연기관장 3명이 참석한 가운데 ‘6월 확대 간부회의’를 개최하고 ‘복합문화지구 누에 공간 정비와 활성화 방안’에 의견을 모았다.
군에 따르면 전시와 문화예술 교육 등으로 지난해 `누에`를 찾은 유료 방문객만 1만 5000명을 넘어섰으며, 올 들어 5월말 현재 방문객 1만 명을 돌파하는 등 전년보다 80% 이상 급증했다.
완주군은 이 같은 여세를 몰아 완주문화재단과 협업을 강화, 군청사 일원을 ‘행복지수 1위 도시’ 실현을 위한 문화와 힐링 명소로 활성화한다는 방침이다.
완주문화재단은 이날 복합문화지구를 △주민 휴식공간으로 활성화하고 △대규모 행사를 유치해 활력을 불어넣으며 △각종 공방을 활성화하고 △국가 공모사업에 도전하는 등 4대 활성화 방안을 제시했다.
김진아 누에추진단 단장은 “누에의 전략목표를 예술교육의 기초를 심는 공간, 함께 만드는 공간 등으로 설정하고 다양한 노력을 기울여 왔다”며 “주기장 이전과 뽕나무 숲 정비, 정례적인 플리마켓 운영, 누에아트홀의 정식 미술관 등록 등 여러 활성화 방안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날 회의에서는 또 `누에` 인근 육교의 디자인 사업화, 쉼터 이미지 강화, 가족 단위 방문객을 위한 먹거리 문제 고민, 옥상을 활용하는 방안 마련, 문화예술 놀이터 조성 등 국내 최고의 문화공간으로 활성화할 수 있는 아이디어와 발굴 시책도 각 부서에서 제안됐다.
이와 함께 완주군의 새로운 랜드마크 역할을 하기 위해서는 구체적인 특징을 중심으로 하는 킬러 콘텐츠 확보 등 방향성을 신중하게 설정해야 한다는 의견도 제시됐다.
유희태 완주군수는 이날 “군청사와 복합문화지구, 대규모 체육시설, 중앙도서관 등이 운집해 있는 곳은 전국적으로도 많지 않을 것”이라며 “옛 잠종장의 가치를 보존하면서 활용 방안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다양한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전북도 잠종장이었던 ‘복합문화지구 누에’는 잠종장이 부안으로 이전한 후 문체부의 폐산업시설 문화재생사업 공모에 선정돼 2016년부터 3년 동안 57억 원의 사업비를 투입, 부지 3800㎡에 아트홀과 공방 등을 갖춘 문화공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