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결정으로 수산물 안전성에 대한 우려가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지역에서 원산지를 속여 판매하는 행위가 여전한 것으로 드러났다.
특히 군산시가 ‘수산도시’로서 제2의 도약을 준비하고 있는 상황에서 이 같은 소비자를 우롱하는 행위가 자칫 활성화에 찬물을 끼얹을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국립수산물품질관리원이 공개하고 있는 국내 수산물 원산지 위반 공표에 따르면 올 들어 군산지역 수산물 원산지 위반 업체는 총 3곳이다.
실제 A업체는 지난달 일본산 활참돔의 원산지를 국내산으로 거짓 표시했다가 적발됐으며, B업체는 중국산 부세(보리굴비)를 국내산으로 판매하다 단속됐다.
또 다른 C업체는 모듬 초밥 내 노르웨이산 연어 및 태국산 새우를 판매하기 위해 진열하면서 원산지를 국내산으로 허위기재 했다.
원산지 위반에 적발될 경우 관련법에 따라 벌금 등 형사처분과 과태료 부과 등의 행정처분이 내려지고 있지만 좀처럼 근절되지 않고 있다.
이는 국내산 수산물에 비해 수입산 가격이 저렴하다보니 들키지만 않으면 폭리를 취할 수 있다는 일부 상인들의 그릇된 판단에서 비롯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물론 일부라고 하나, 원산지 허위표시 등 식품의 안전을 위협하는 문제들이 지속적으로 발생할 경우 지역 수산물에 대한 불신으로 이어질 수 있는 만큼 심각성을 더해주고 있다.
결국에는 부정적인 인식 속에 애꿎은 다른 상인들까지 피해를 입을 뿐 아니라 군산 관광 발전에도 큰 타격을 줄 수 밖에 없기 때문이다.
더욱이 군산시가 민선 8기 들어 안전하고 질 좋은 지역특화 수산식품을 육성하기 위해 행정력을 집중하고 있다는 점에서 가장 기본이 되는 원산지 허위 표시, 미표시, 혼합 판매 등 위반행위는 반드시 근절돼야 할 부분으로 여겨지고 있다.
현재 시는 수산관련 조직개편과 함께 수산물종합센터 신축 및 새만금 수산식품 수출가공 종합단지 조성, 지역특화 수산물 소비촉진 등 다양한 사업을 추진하며 지역경제에 기여할 수 있는 수산식품산업을 적극 육성하겠다는 계획이다.
시민 박모 씨(49)는 “수산산업에 대한 인프라 구축 등에 앞서 소비자의 신뢰를 먼저 쌓을 수 있는 원산지 표시 의무화 및 정착 문화가 선행돼야 한다"며 "가장 중요한 것은 지역 수산물에 대한 안정성"이라고 말했다.
따라서 시민들 사이에서 관계기관의 철저한 지도 및 관리감독을 비롯해 건전한 시장 유통질서를 위한 보다 실효성 있는 대책들이 세워져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이와 함께 일부 상인들의 비양심적인 판매 행위로 군산시의 위상이 실추될 수 있는 만큼 (상인들의) 자정노력 및 실천 등도 요구되고 있다.
군산시의회 설경민 의원은 “지역 수산업이 성장·발전하기 위해서는 소비자가 믿고 살 수 있는 수산 시장 분위기가 반드시 형성돼야 한다”면서 “이를 위해 지자체, 상인 할 것 없이 모두가 힘을 모아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