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자는 ‘무턱대고 아무 버스에나 몸을 싣고 서울 떠’(6쪽.랜덤하우스)나 고향 마을 저수지에 도착한다. 저수지에서 낚시하는 동안 낫을 든 사내와 체육복을 입은 남자, 그리고 열댓 살의 소년을 만난다. 소년이 화자에게 들려주는 따식이에 관한 이야기를 읽으며 나는, 내가 읽는 소설의 정체를 가늠하려 <귀신의 시대>라는 표제를 몇 번이나 확인했다. 은유일까, 직유일까. 제목에 대한 호기심을 안고 사건의 추이를 짐작하던 나는 어느 시점이 되자 읽기를 중단했다. 눈을 감고 문장과 행간 사이에서 풍기는 정조를 느꼈다. 정조를 드러낸 정서가 좋아서, 어떤 일이 벌어지고 말아야 한다고 기대하는 어느 날 갑자기 생긴 의식적인 강박을 내려놓았다. 때를 같이하여, ‘예전에 아무도 몰래 고향을 찾아왔을 때 누워 있던 그 자리에 종구 형이 있었다’(67쪽)는 문장이 눈에 들어 들어왔다. 그제야, 나는 소년이 낚시터를 찾은 화자의 괄호( )였다는 것을 알았다. 생각 없이 괄호 안을 밝혔다가 영화로 말하면 스포일러가 되겠구나 싶어 지웠지만 눈썰미 있는 독자는 더 빨리 알아차려 오히려 뒤늦은 파악이 멋쩍을지 모를 일이다.
노령산맥의 그늘을 보고 자란 소년은 머슴의 후손이었다. 머슴이든 아니든 ‘삶이 끝나버린 순간 삶이 끝나지 않았다고 믿는 사람들이 바로 귀신이었’(113쪽)고 시대를 거쳐 간 국민학교, 변소, 당골네, 전화 교환원, 평화의 댐 같은 단어들은 머슴 ‘귀신’에 올라탄 망령이었다. 그것들은 자리를 뜨지 못한 채 노령산맥 그늘에서 묵직한 소리로 울었다. 아궁이 앞에 앉은 소년의 누나가 ‘삶’이라 끄적이며 과거와 현재를 잇는 선택을 할 때 소년은 이미 귀신들을 만났고 여러 차례 혁명을 꿈꿨다. 일없이 전화 교환원에게 전화를 걸어 욕을 하고, 마을 확성기를 이용해 딸에게서 전화가 왔으니 어서 오라고 거짓 방송을 해서 댓골댁을 허탕치게 만든 소년은 남의 집에서 손톱을 깎거나 빨간 글씨로 이름을 쓰는 등 어른들이 하지 말라는 것들을 했다. 그렇게 소년은 금기라고 생각되는 것들과 싸웠으나 그것이 소년의 투쟁이란 걸 눈치챈 사람은 아무도 없었다.
은유를 간직한 <귀신의 시대>는 죽은 자를 구분 짓고 멀리하는 우리의 관습, 그 이상의 것을 숨기고 있다. 일견 타당해 보이지만 비합리적이어서 거부하거나 시각의 차이라고 하기에는 폭력적이어서 투쟁할 수밖에 없는 것들에 대하여. 소년의 저항은 큰 비밀을 간직한 채 살아가는 사람들이 들키지 않으려고 애쓰는 것처럼 은밀하고 신중하며 사사롭다. 어느 때는 유머를 간직한 채 말이다.
오은숙 소설가는
2020년 전북일보 신춘문예로 등단해, 공저로 <1집 스마트소설>, <지금 가장 소중한 것은>, <2021 신예작가>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