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시 1인 가구 매년 증가⋯위험군 2000세대

2017년 7만3738세대→2021년 9만9476세대
65세 미만 저소득 1인가구도 7800세대 달해

전주의 고립 시 위험이 있는 1인가구 수가 매년 늘면서 전국평균보다 많고 65세 미만 저소득 1인가구가 7800세대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시는 저소득 1인 가구의 사회적 고립과 고독사를 예방하기 위한 전담관리 체계 구축에 나선다.

22일 시에 따르면 전주시의 1인가구 수는 지난 2017년 7만3738세대에서 지난 2021년 9만9476세대로 2만세대 이상 늘어났다. 

이는 2021년 기준 전체가구수 대비 35.3%로, 전국평균 33.4%보다 2%가까이 높은 수다. 

또한 시가 올해 3월부터 5월까지 2개월동안 65세미만 저소득(기초생활 수급자, 차상위 계층)  1인가구는 7719세대인 것으로 조사됐다.

저소득 1인가구 실태조사는 시가 올해 처음으로 실시했으며,  이중 사회적 고립위험 의심가구 2062세대, 고위험군은 814세대, 중위험군 541세대, 저위험군 707세대 등이었다.

이에 시는 우선 이 2000여 사회적고립 위험가구의 고독사를 방지하기 위해 체계적인 지원에 나설 계획이다.

시는 이들을 실질적으로 지원하기 위해 각 동별로 고위험군을 대상으로 전담공무원을 매칭하는 등 주 2회 이상의 주기적 안부를 확인한다. 

또 중위험군과 저위험군에 대해서는 명예사회복지공무원과 동협의체 등 자생단체와 연계해 월1~2회 이상 안부를 확인하는 등 ‘혼자사는 저소득가구 방문보호제’를 실시할 예정이다.

이와 관련 시는 최근 1인 가구가 급증하고 과거 몇 년 동안 코로나19로 비대면 생활이 일상화됨에 따라 사회문제로 대두되는 고독사의 예방에 대해  대응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시는 독거노인에 대한 사회적 안전망을 구축했으며, 65세 미만 고독사에 대해 대처하기 위해 보건복지부의 고독사 예방 및 관리 시범사업 공모에 참여·선정돼 현재 65세 미만 청년과 중장년 1인 가구를 위한 고독사 예방사업을 추진중이다.

시는 사회복지 담당공무원들을 대상으로 고독사 초기대응 매뉴얼을 만든 전문강사 등을 초청해 2차례에 걸쳐 직무역량강화 교육을 실시하고, 고립가구에 대해 민관이 협력해 보호하는 유기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매월 민관합동 고독사 예방을 위한 시범사업 간담회도 열고 있다.

김종택 시 복지환경국장은 “사회적으로 고립가구는 늘어나고 복지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방문해도 문을 열어주지 않는 가구가 많아 현장에서 대응하는데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면서 “비대면이 익숙한 사회에 행정도 접근방식이 달라져야 할 때이며, 적극적인 직무역량 교육과 실질적인 지원체계를 통해 사회적 도움이 필요한 고립가구가 적기에 필요한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관련 체계를 지속적으로 확충해 나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