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우리가 살아가는 시대가 하루가 멀다 하고 급속도로 변화되어 가고 있는 모습들이 느껴진다. 눈만 뜨면 앞으로의 미래를 예측하기 어려울 정도로 다양한 신산업 성장에 대한 이슈가 쏟아져 나온다. 그렇다. 그만큼 우리에게 주어진 시간들이 빠르게 지나가고 있는 것이다. 무엇을 어떻게 선택하고 집중을 해야 하는가에 따라 우리의 질적인 삶이 바뀐다. 현재와 미래의 산업은 속도전이다. 늦어지는 순간 지는 것이다. 발전과 낙후의 차이는 발 빠르게 누가 먼저 시작하고 달성하느냐에 따라 선택되는 것이다. 요즘 지역 간의 경쟁이 더욱 더 심화되고 있다. 왜 그럴까? 죽느냐 사느냐의 기로에 서 있기 때문이다. 요즘 대두되고 있는 사회적인 문제들이 거의 다 지역산업과 연계가 되기 때문이다. 고령화, 저출산, 인구소멸에 혼인률도 점점 낮아지고 있다. 이로 인해 인구는 지속적으로 감소될 것이고, 1차적으로 군 지역의 인구가 소멸할 것이다.
사람들은 인프라가 발달하고 일자리가 있는 도시로 점점 모여들 것이다. 그렇다. 문제의 답은 일자리이다. 지역에서 떠나지 않고 오히려 몰려오게 하는 솔루션이 있어야 한다. 이 중 으뜸은 마이스 산업이다. 이미 앞서서 시작한 다른 지자체가 마이스 산업에 대한 지역경제 파급효과를 충분히 맛보고 더욱 더 발 빠르게 이를 확충하고 있다.
마이스(MICE)라는 용어는 회의(Meeting), 포상관광(Incentive tour), 컨벤션(Convention), 전시회 및 이벤트(Exhibition & Event)의 앞글자를 따서 붙인 4개의 비즈니스 분야를 지칭하는 용어이다.
마이스산업은 다양한 활동을 포함하는 산업분야로 발전하게 되었고, 다른 산업이 성장할 수 있도록 촉진제 역할을 하고 있다. 지역의 호텔, 식당, 교통, 문화예술 등의 소상공인 생태계가 발전하게 되고 이로 인해 일자리가 생기며 지역경제와 소득이 증가하게 된다. 그럼 우리 전라북도의 마이스 산업을 알아보자. 앞으로 전주 공설운동장에 컨벤션센터가 지어지고 주변이 마이스 복합단지가 형성되며, 대한방직 터의 관광타워 및 관광상업시설을 활용한 마이스 복합 타운이 만들어진다. 이로서 지역의 활력소가 되는 마이스 산업이 시작된다. 더욱 더 바랄 것은 새만금이다. 이젠 우물 안의 개구리가 아닌 세계적인 글로벌 도시로서의 기반을 다지고 실행해야 할 때이다. 남들이 다 하는 기준 말고 대한민국의 또 하나의 랜드마크와 세계적인 글로벌 마이스 융복합단지로 만들어 가야 한다. 예를 들어 조그마한 나라이지만 전 세계의 마이스산업을 이끌어 가는 싱가포르를 보자. 인구는 약 550만 명, 면적은 서울시의 1.2배 정도이다. 그렇지만 GDP는 약 7만 달러로 우리나라의 2배에 해당되는 잘사는 나라이다. 항만, 금융, 물류, 관광을 비롯하여 마이스 산업을 통해 신성장 융복합 산업으로 아시아의 대표적인 허브로 발전해 왔다. 즉, 마이스 산업으로 먹고 살아가는 나라이다. 그럼 새만금과 비교해 보자. 군산의 항만, 김제의 해양 레저, 부안의 관광과 크루즈, 새만금의 신항만과 국제공항, 동북아의 물류기지 조성, 가까운 나라 14억 명의 중국과 일본의 인프라가 인접한 곳이다. 이곳이야 말로 동북아의 융복합 마이스 복합단지이다. 우리 전북이 사느냐 죽느냐의 중요한 선택이 아닌 우리에겐 놓칠 수 없는 기회의 땅이다. 미래 청년들의 희망의 땅 글로벌 마이스 메카로 자리 잡기를 간곡히 희망한다.
/장영훈 전북마이스발전협의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