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초상화의 역사는 깊고 융성하다. 그중에서도 조선 시대 초상화는 한 시대 미술사를 주도할 정도로 왕성하게 제작됐다. 미술사가 유홍준은 조선을 ‘초상화의 왕국’이라고 표현했을 정도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조선 시대에 제작된 수많은 초상화는 전란을 겪으면서 소실되었거나, 낡으면 새로 제작한 뒤 불태워 없애버리는 관행으로 원본이 남아 있는 경우는 많지 않다.
서화의 맥이 탄탄한 전북은 초상화로 더 빛난다. 그 역사를 이끈 사람이 있다. 초상화가 채용신(蔡龍臣 1848-1941)이다. 근대 한국화단의 마지막 초상화로 꼽히는 채용신은 전통 초상화 기법을 계승하면서도 전통과 서양 화법을 조화시키고 근대 사진술을 반영해 '채석지 필법'이라는 독특한 화풍을 개척했다.
그는 150여 점의 초상화를 남겼다. 무과에 급제해 여러 관직을 거쳤으나 세상이 어지러워지자 그만두고 전주 인근에 내려와 살면서 의뢰하는 인물들의 초상화를 모두 그려주었던 덕분이다. 그는 정읍 태인에서 세상을 떠날 때까지 초상화 그리는 일을 손에서 놓지 않았다. 당대의 이름난 학자와 우국지사의 초상을 오늘에 남긴 것도, 높은 관직을 갖고 있거나 명망이 있는 집안에서나 의뢰할 수 있었던 초상화를 누구나 가질 수 있게 된 시대적 변화를 이끈 것도 그였다.
인물을 통해 역사를 읽어내는 일은 기록이나 유산으로 역사를 읽어내는 일과는 또 다른 의미의 역사 읽기다. 인물을 통해 역사를 읽어낼 수 있는 방식은 여럿이다. 당대의 화가들에 의해 그려진 초상(肖像)을 통해 역사를 읽는 방법도 그중 하나다. 초상은 그림으로 역사 속 인물을 만나게 하거나 인물을 통해 역사를 읽게 하는 흥미로운 통로가 된다.
제사를 지내기 위해 제작하는 초상화도 있다. ‘영정’이라 부르는 초상화다.
남원 광한루의 춘향 영정이 논란에 쌓였다. 남원시가 왜색 논란이 있던 친일 화가 김은호의 영정을 철거하고 새로 제작해 지난 5월 봉안한 새 영정이다. ‘보편적으로 받아들일 수 있는 춘향의 모습이 아니다’는 비판과 ‘전문가의 고증과 자문을 거쳐 아름다운 춘향을 그리려 했다’는 화가의 항변이 맞선다. 한 시대 초상화를 주도했던 우리 지역에서 초상화가 논란이 된 형국은 안타깝다.
그런데 좀 더 본질적인 문제가 제기됐다. 비단과 안료의 생산지다. 우리나라에서는 전통방식으로 제작되는 화견(그림을 그리는 비단)을 생산하기 어려운 환경이다. 물감도 마찬가지여서 대부분을 일본산과 중국산에 의지하고 있다. 춘향 영정 안료와 비단 생산지를 주목하는 것은 이 때문이다. 만약 안료와 비단이 일본산이나 중국산이라면 영정을 새로 제작한 취지조차 무색해진다. 영정 제작 과정의 정당성이 새삼 궁금해지는 이유다. /김은정 선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