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체육회의 현안 사업을 제대로 추진하기 위해서는 현실에 맞는 예산이 반영돼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예산 등의 문제로 전북체육회의 현안 사업들이 차질을 빚고 있자 전북체육인들이 “특단의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며 목소리를 높인 것이다.
전북체육회는 27일 긴급 연석회의를 열고 전북체육인들의 의견을 수렴했다. 이는 체육 현안 사업들이 외부적인 요인으로 차질을 빚고 있자 전북체육회 이사회에서 긴급 제안해 열린 것.
이날 회의에는 전북체육회 고문 및 임원, 시·군체육회 및 도 종목단체, 스포츠클럽 관계자, 실업팀 선수, 지도자 등 150여명이 참석했다.
회의에서는 예산 증액 문제와 실업팀 창단, 추경예산 요구 등에 대해 이야기 했다.
이 자리에서 한 체육인은 “올해 체육회 도 지원비 213억 원을 책정했으나 많이 부족해 작년 울산에서 열린 전국체전 당시 김관영 도지사와 체육인들과의 만찬 때 체육회에서 세운 도 지원비에 추가로 17억 원 증액을 요구했었다”면서 “당시 김관영 도지사도 흔쾌히 약속해 지원비 230억 원을 도에 올렸으나 195억여 원만 책정돼 각종 사업 추진에 차질이 발생했다”고 토로했다.
그러면서 “특히 전국체전 출전 선수들의 식비와 숙박비 등이 올해 6만 원으로 작년보다 1만 원 증가했지만 이마저도 현실 물가와 맞지 않는 수준”이라면서 “1인당 하루 6만 원이면 7000원 짜리 식사 세끼에 4만 원짜리 숙소를 구해야 한다”며 현실화 반영을 요구했다.
이와 함께 이날 회의에서는 실업팀 창단 문제도 제기됐다.
전북체육회 관계자는 “근대5종, 검도, 철인3종 등 3개 실업팀 창단이 시급한 상황”이라면서 “이들 3개 실업팀 창단을 위해 대한체육회에서 3년간 기금 9억 원을 확보했는데 이달 말까지 창단이 안 되면 기금을 반납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현재 이들 종목 선수들은 훈련은 하고는 있지만 팀이 없어 관리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면서 "체육인재들의 타 지역 유출을 막기 위해서라도 실업팀 창단은 필요하다"
고 덧붙였다.
앞서 전북체육회는 지난 1차 추경 때 △3개 팀 창단 운영비(18억 원) △체육역사박물관(3억 6000만 원) △체육영재발굴(2억 3000만 원) △스포츠단 운영(1억 5000만 원) △체육중장기발전계획용역(5000만 원) 등 27억 원을 요구했으나 예산은 3개 팀 경영운영비 4억 원만 반영된 것으로 알려졌다.
정강선 전북체육회장은 “지방정치△행정으로부터 독립해 체육 전문기관으로써 체육회의 안정적인 운영과 전북체육 진흥사업의 원활한 추진을 위해 조례개정을 통한 예산지원의 근거가 마련돼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