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만금잼버리 언제하나요” 잼버리 행사 임박에도 고요한 전북

도민 혈세 들어가는 초대형 국제행사 실패 반복 우려
있어야 할 현수막은 없고, 없어도 될 현수막만 가득
서울은 물론 지역 내에서도 개최 시기 모르는 도민 대다수
정치인 현수막만 가득한 전북에 대한 재경전북인들 질타
잼버리 분위기 조성위해 홍보 총력전 필요

전북도청 별관의 잼버리 현수막과 캐릭터/사진=독자 제공

대형 국제행사로 기대를 모았던 ‘제25회 새만금 세계스카우트잼버리’에 대한 홍보가 지나치게 부족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새만금잼버리 홍보는 국가차원에서 열을 올리는 2030부산엑스포 유치전과 그 규모와 열정에서도 비교되는 현실이다.

전북도가 지난 2017년 아제르바이잔 바쿠에서 열린 제41차 세계스카우트 총회에서 잼버리를 유치했을 당시에는 평창 동계올림픽 이상의 국제대회로 홍보돼 왔다. 도는 잼버리를 유치한 이후 전담부서를 신설했을 만큼 잼버리에 각별한 애정을 드러내 왔다. 그러나 뚜껑을 열어보니 정작 행사를 앞둔 올해에는 아태 마스터스대회 실패에도 불구하고, 새만금 잼버리 붐이 전혀 일어나지 않고 있다. 이는 지난 6~7년간의 업무 성과에 의문이 제기되는 배경이기도 하다.

실제로 공직사회와 정치권, 도내 오피니언 그룹을 제외하면 잼버리가 언제 열리는지도 모르는 실정이다. 

이 같은 지적은 재경도민들에게 먼저 나왔다. 잼버리 대회에 대한 적극 홍보가 이뤄져야 할 서울역이나 용산역에도 잼버리 대회가 임박했다는 사실을 알리는 홍보문구를 찾기 힘들다는 것이다. 고향을 찾은 재경도민들은 “전주에 가면 새만금잼버리 분위기가 고조돼 길거리 곳곳에 현수막이 걸려있을 줄 알았다. 그런데 정작 지역에 가보니 총선을 준비하는 정치인이나 정당의 불법 현수막만 잔뜩 걸려있고, 있어야 할 잼버리 현수막은 보이지 않았다”고 입을 모았다.

잼버리 대형 현수막이 전북도청 본청이 아닌 별관에 걸린 점도 구설에 올랐다. 

잼버리 유치전에 참여했던 재경도민 A씨는 “도민의 혈세를 들인 행사인 만큼 국제행사 효과를 최대로 끌어내야 한다”면서 “앞으로 한 달간의 준비가 지난 7년보다 중요할 수도 있다. 그런데도 도청 본청이 아닌 별관 건물 앞에만 홍보 현수막과 캐릭터가 덩그러니 놓인 것을 보고 매우 실망했다”고 말했다.

전주는 물론 도내 다른 지역에 가도 마찬가지라는 비판도 높았다. 도내 주요 번화가나 관광객들이 잔뜩 모인 장소에 잼버리를 대대적으로 홍보하거나 이를 알리는 대형 현수막, 전신주 등에 걸리는 깃발형 현수막마저 보기 어려웠다는 것이다.

전북도가 최소 2017년도부터 애정을 쏟아부은 국제행사라기엔 기본적인 홍보 활동조차 제대로 이뤄지지 않은 셈이다. 아태 마스터스대회 실패 평가에도 불구하고, 고작 두 달도 남지 않은 잼버리 대회에서까지 소극적인 대처에 아쉬움을 표하는 도민도 적지 않다.

대안으로는 전북 도내 유관기관과 시민사회단체가 함께 나서 잼버리 분위기 조성에 앞장서야 한다는 주장이 힘을 얻고 있다.

농협, 전북은행, 지역언론, 혁신도시 공공기관은 물론 국가기관 지역본부까지 전사적으로 잼버리 홍보에 동참해야 한다는 의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