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관영 지사, 전북 금융중심지 발언 '설왕설래'

김 지사 "여건 조성 않고 지정해 달라는 건 웃긴 일" 발언
금융위 논리 강화하는 발언에 "도가 해야할 일 강조 의미"

김관영 전북도지사가 28일 전북도청에서 취임 1주년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사진=전북도 제공

"(전북 금융중심지 지정) 관심을 갖고 있지만 현실적으로 달성 가능성에 있어 난관이 많은 것이 사실입니다. 전북도가 노력하는 것에 한계가 있는 것도 사실입니다. 금융중심지의 경우 지정을 신청하고 인가받기 위한 객관적인 여건이 조성돼야 합니다. 여건이 조성되지 않고 우리가 지정해달라고 얘기하는 건 웃긴 거죠."

민선 8기 취임 1주년 기자회견에서 나온 김관영 전북도지사의 전북 금융중심지 발언을 두고 설왕설래가 이어지고 있다.

김 지사는 28일 취임 1주년 기자회견에서 전북 금융중심지, 국립의전원법과 대광법 등 답보 상태에 놓인 지역 현안 대책을 묻는 질문에 "전북 금융중심지의 경우 여건 조성이 되지 않고 (금융위원회에) 지정해달라고 얘기하는 건 웃긴 것"이라며 오해의 소지가 있는 답변을 내놨다. 해당 발언이 마치 전북이 금융산업 인프라 등 여건을 갖추지 않은 상태에서 무리한 요구를 하는 것처럼 비칠 소지가 있기 때문이다.

이는 2019년 금융위의 전북 금융중심지 지정 보류 결정 이후 금융모델 구체화, 인프라 확충 등의 노력을 해왔다는 전북도의 기존 설명과도 배치되는 말이다. 서울, 부산 금융중심지와 달리 전북에만 '선 인프라, 후 지정'을 요구하는 금융위의 논리를 강화하는 발언이기도 하다.

이어 전북 금융중심지 지정의 책임 소재를 묻는 질문에 김 지사는 "2019년 금융위가 제시한 몇 가지 조건이 있다. 이것이 제대로 되지 않은 상태에서 신청하는 것은 객관적으로 무리라고 생각한다"며 "물론 정부가 책임 있는 자세를 가지고 금융위의 역할과 전북의 역할에 대해 긴밀히 협의하는 일이 대단히 중요하다. 따라서 우린 금융위의 적극적인 자세에 대해 강하게 압박하는 것"이라고 밝혔다.

오해의 소지 등 논란이 있을 수 있다는 추가 질문에 김 지사는 "전북 금융중심지 지정을 위해 금융생태계 조성 등 도가 해야 할 일을 차분히 해나가겠다는 뜻"이라며 "금융중심지 관련 정부의 전향적인 계획이 발표될 수 있도록 정치권과 협력해 나가겠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