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산시민예술촌에서 윤석열 대통령 타도 기원 촛불 문화제가 열린 것과 관련, 국민의힘과 군산촛불행동이 운영목적 및 발언 등을 놓고 날선 공방을 벌이고 있다.
국민의힘은 공공시설에서의 정치활동을 묵인한 시민예술촌장과 군산시의 사과를 요구하고 있는 반면, 군산촛불행동 측은 악의적인 왜곡이라며 더불어민주당 국민응답센터에 ‘표현의 자유를 억압한다’는 내용의 청원을 올린 상태다.
문제의 발단은 군산촛불행동이 지난 24일 군산시민예술촌에서 진행한 ‘군산 촛불의밤’에서 비롯됐다.
이날 행사가 열린 군산시민예술촌은 대관뿐만 아니라 문화예술 거리 사업 및 교육 사업을 위해 시가 설치한 곳으로, 지난 2015년 8월부터 현재까지 진포문화예술원에서 위탁 운영하고 있다.
당시 행사에서 군산촛불행동 공동대표 A씨는 “군산의 촛불이 횃불이 되고 그 횃불이 들불이 되어서 반드시 그 불길이 용산까지 전해질 것이고 그 불길로 저들을 활활 태워버리고 말 것“이라고 말했다.
이 같은 발언에 국민의힘은 발끈했다.
백경훈 국민의힘 상근부대변인은 논평을 통해 “국민세금으로 운영되는 공공시설에서 대통령을 태워버리고 말겠다는 대통령 타도 기원행사가 열렸다”며 “당시 발언들을 보면 정치적이고 선동적”이라고 비난했다.
또한 “군산시 조례에는 예술촌 운영목적을 벗어난 정치활동, 종교적, 상업적 목적으로 사용될 것으로 예상될 때는 예술촌 사용을 제한하거나 승인을 취소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책임자인 예술촌장은 신청 당시에는 무슨 행사인지 정확히 몰랐다고 했으나 정치적 목적을 가진 행사라는 것을 인지한 후에도 진행을 막지 않았다"며 “책임자인 시민예술촌장과 시는 사건의 경위를 명확히 해명하고 사과 및 재발방지 대책을 세우라”고 강조했다.
그러자 군산촛불행동은 29일 국민의힘 논평에 반박하는 성명을 내며 맞섰다.
이들은 “행사는 집회가 아니라 공연이었다“며 ”일국의 공당인 국민의힘은 악의적인 왜곡 거짓 논평을 철회하라"고 촉구했다.
특히 군산촛불행동은 국민의힘이 A씨의 발언을 심각하게 왜곡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군산촛불행동은 “발언 어디에도 '대통령을 태워 죽이겠다'라는 부분이 없다”면서 “언급된 '용산'은 대통령과 권력 핵심이 있는 곳을 말하는 것이고 ‘활활 태워버릴 저들은’ 사람을 지칭한 것이 아니라 부당한 권력을 의미한다”고 설명했다.
이들은 "명색이 국가의 여당 대변인이라는 자들의 언어 이해력이 그 정도라는 사실에 대해 실소를 금할 수 없다"며 ”국민의 안위 따위에는 전혀 관심 없는 여당이 지방 소도시에서 기껏 몇 십 명이 모여 가진 문화행사를 꼬투리 잡아 시청 공무원을 겁박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이 사안에 대해 시는 수탁자인 군산진포문화예술원과 책임자 문책 및 협약사항 불이행에 대한 청문 등 행정절차를 진행하기로 했다.
시 관계자는 "상황의 심각성을 느끼고 다시는 이런 일이 발생하지 않도록 재발 방지에 최선을 다 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