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시 종합리싸이클링타운을 운영하는 사업시행자가 외부 음폐수를 반입해 처리함으로써 기타 수익을 낸 것을 두고 환경 악화와 수익금 배분 미비에 대한 비판의 목소리가 나왔다.
민주노총 전북본부와 전북환경운동연합을 비롯한 32개 환경·시민단체는 6일 오전 10시 전주시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전주시 종합리싸이클링타운(이하 리싸이클링타운) 사업시행자는 전주시 승인 없이 외부 음폐수를 반입해 처리함으로써 수익을 냈다"며 "정작 전주시에서 발생한 음식물 폐기물 처리가 지연돼 시민들에게 피해를 줬다"고 주장했다.
음식물폐기물 처리 과정에서는 음식물 폐수(이하 음폐수)가 발생하는데, 리싸이클링타운에는 음폐수를 처리하는 시설이 있다.
단체는 리싸이클링타운의 사업시행자가 이 시설을 이용해 2018년부터 현재까지 19만 여t에 달하는 타지역의 음폐수를 들여와 처리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단체는 "리싸이클링타운 사업시행자가 이 같은 수익사업을 시작하기 전에 전주시의 승인을 구하지 않았고, 사업에서 발생한 수익 또한 배분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이날 이태성 공공운수노조 전북평등지부 리싸이클링타운분회장은 "음폐수를 처리하는 과정에서 악취와 강한 산성 액체가 발생해 노동자의 안전을 위협하는 만큼 더이상 시설이 과부하로 가동되지 않도록 조치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 시는 시민 혈세가 낭비되지 않도록 전주시에 부과되는 처리 수수료를 낮추는 방식으로 실시협약을 변경한다는 입장이다.
시 관계자는 "그간 전주시가 정산하는 과정이 없어서 누락된 부분이 있다"며 "이후에 정산과정 대신 수수료를 낮추는 방식으로 협약을 변경해 전주시 몫의 수익금을 반영했다"고 말했다.